청주시, 시군통합후 명칭 가능 소극적 입장 피력
한국철도공사 "명칭변경 가능하지만 비용은 해당 지자체 부담"

경부고속철도 충북 신설역 명칭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청주시가 '오송역'으로 결정되더라도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한범덕 청주시장은 최근 지역 언론사의 취재과정에서 "한국철도공사에 '청주오송역'을 희망 명칭으로 제시했지만 시군 통합을 앞둔 상황에서 불필요한 지역 갈등을 감안해 '오송역'으로 최종 결정되더라도 반대하진 않겠다"고 말했다는 것.

한 시장은 임기내 시군통합이 성사되면 역 명칭도 자연스럽게 청주 지명이 포함된 이름으로 바꿀 수 있지 않겠느냐는 개인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본보 확인 결과 한국철도공사는 차후 해당 지역의 요구로 역 명칭을 변경할 경우 모든 소요비용을 해당 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워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공사 역명심의위원회 이욱 위원(미래도시연구원 사무국장)에 따르면 "지난 22일 심의위에서 공사측의 2가지 질문을 해 분명한 답변을 들었다. 이번에 '오송역'으로 결정된다면 향후 시군통합 뒤에 명칭변경이 가능한가? 명칭변경에 따른 제반 시설변경의 비용부담은 누가 지는가?하고 물었는데 해당 지자체가 요구하면 명칭변경은 가능하고 비용은 해당 지자체가 전액부담해야 한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결국 청주시가 신설역 명칭을 양보할 경우 2~3년내 시군통합이 성사된뒤 명칭변경에 따른 혼선과 비용 부담에 대한 입장을 사전에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만에하나 시군통합이 임기내 성사되지 않았을 경우 청주 지명을 어떻게 되살릴 수 있을 지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청주시청내 일부 직원들은 "도내 첫 고속철도역이면서 향후 호남고속철 분기역이 될텐데, 첫 명칭이 전국적인 인지도를 획득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충북도, 청주시, 청원군이 시군통합 추진에 합의하고 상설기구까지 둔 마당에 역사 명칭을 두고 특정 지역 눈치만 보는 것 같아 안타깝다. 더구나 청주시는 기존 시내버스 운행체제에 대한 전면개편을 앞두고 청원군 지역까지 포함시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주오송역'이 사실상 청원 지명도 함께 살린 중재안인데 이마저 양보한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