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정치·문화부 기자
예총과 민예총은 흔히 예술계의 양대산맥으로 불린다. 50년 역사를 넘긴 예총과 민주화 운동 시절 태동해 민족예술을 이끈 민예총은 지역예술계에서 각각의 뿌리를 공고히 내렸다.
한 때는 예술가가 되려면 예총이냐, 민예총이냐를 선택해야만 하는 때도 있었다. 물론 예술단체의 이념이나 색깔은 확연히 달랐다. 어쨌든 두 단체는 세월을 함께 보내며 늙고 있다.
최근 충북도에서는 공연과 전시파트, 개인 예술가를 위한 기금사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전에 없던 지원이라 예술인 입장에서는 지지하는 목소리가 크다. 중앙기금이 지역으로 환원되면서 지원이 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꼬리표처럼 심사의 공정성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이유인 즉 외부 심사위원을 위촉해 공정성을 기한다고 해도, 이른바 예총·민예총 수장들이 배석하면서 ‘자기 단체 감싸기’가 벌어진다는 것이다. 아예 예총 한팀, 민예총 한팀 이렇게 배분이 이뤄진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차례 심사를 위해 내려오는 외부 심사위원들은 이러한 권력행사에 아무런 제지를 하지 못한다는 것.
연극계에서는 최근 충북도가 벌인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육성지원사업을 두고 뒷말이 들린다. 극단 시민극장, 극단 새벽, 극단 청사, 쪽댄스 컴퍼니가 각각 음성문화예술회관, 제천문화회관, 충청북도학생교육문화원, 옥천문화예술회관을 활성화하는 프로젝트로 3000만원에서 7000만원 내외의 지원을 받았다. 여기에는 2년간 집중 지원이 원칙이지만 1년 단위의 성과평가를 통해 사업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면 과감히 지원을 중단하거나 지원금액을 햐향 조정한다는 단서도 붙었다.
그런데 청주 주중동에 위치한 충청북도학생교육문화원이 지원을 받았다는 게 의아하다. 공연 대부분이 청주에서 이뤄지고 있고, 또한 충청북도학생교육문화원은 최근 기획사들의 공연장 대관이 활발한 곳이기 때문이다. 공연장과의 사전 협의가 제일 중요한 사항임에도 지원을 받기 위해 급조된 프로그램이 나온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예술인들이 기금 지원을 두고 그토록 외쳤던 ‘선택과 집중’은 사라지고, 고른 분배가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올해 미술파트에서 신진예술가들을 위한 지원도 마찬가지로 신청한 사람들 모두에게 지원했다. 결국 지원방식에 대한 대안은 모색하지 않은 채 되풀이 될 뿐이다. 또한 문화재단 설립을 두고 지역예술단체 관련자들이 들썩이고 있다. 정우택 지사의 경제특별도 정책의 일환이었던 문화재단 설립이 가시화되면서 대표와 사무국장 등 문화행정직을 누가 맡게 될지 관심이 쏠리기 때문이다.
두 예술단체들이 이곳에 얼마만큼 포진하게 될 지가 지금 예술계의 최대관심사다. 하지만 이것이 두 에술단체의 문화권력에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 되지 않을 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예술가의 예술을 평가하는 것이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면 문화행정가의 경우는 좀 다르다. 분명한 데이터와 실적, 능력 등을 검증하는 절차가 선행돼야 한다. 충북문화예술계의 미래를 재단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