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장관 충북방문, 충북도 이행보증방안 추진 등 약속지키기 나서
민주당 청원군의원 통합반대특위 ‘반대’ 삭제, 어떻게 처리할까 주목
청주·청원 통합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달곤 행정안전부장관이 오는 6일 충북을 방문하고, 충북도에서는 통합인센티브 등에 대해 이행보증방안을 추진한다. 청원지역 4개 구청 배치, 청주?청원 의원동수 등 지역차원에서 이행약속을 지켜야할 사항은 청주시·의회, 청원군·의회 간 ‘이행보증협약’을 체결하고 충북도와 행안부 등이 보증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실제 청원군의원들은 “정부가 법으로 정한 세종시도 뒤집는 판에 행안부와 청주시가 통합이행조건으로 해주겠다는 약속을 어떻게 믿느냐”라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그래서 통합 당사자만이 아니고 충북도, 행안부까지 나서 이행보증협약을 체결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협약이 체결되면 청원군민들이 정부와 청주시의 지원에 대해 인지, 통합여론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충북대 사회과학연구소가 지난 1월 31일 여론조사한 바에 따르면 청원군민들은 60.3%가 통합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반면 통합시 정부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절반에 못 미치는 43.3%만이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적극적인 약속이행을 위한 노력과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청원군의회에도 변화바람 불어
한편 한나라당 소속 청원군의원들이 지난 1월 29일 ‘청원·청주통합반대특위’에서 ‘반대’자를 삭제하기로 의견을 모아 이제는 공이 민주당으로 넘어갔다. 의원들은 반대특위를 탈퇴할 것인가, ‘반대’자를 뺄 것인가에 대해 장시간 회의를 했으나 일부 의원들이 탈퇴하는 것에 부담을 느껴 후자를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 의원은 “탈퇴를 하면 통합 찬성하는 게 돼 이장과 통합 반대파 주민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는 게 반대파들의 주장이었다. 그래서 탈퇴보다는 ‘반대’자를 삭제키로 했다. 이제부터는 자유롭게 통합 찬성과 반대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군의원들은 지난해 지역에서 청주·청원 통합 여론이 몰아치자 ‘청원·청주통합반대특위’를 구성하고 통합반대에 올인했다. 그러면서 청주시의회의 대화 제의나 충북도의 통합 5자회의에도 일절 응하지 않았다. 주민여론조사 결과 통합찬성 여론이 매번 절반을 넘었음에도 반대만 일삼자 주민들의 의견수렴이라는 가장 일차적인 의무를 저버린 군의원들에 대해 비난 목소리가 높게 일었다. 이 때문에 통합 찬·반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우선 반대특위를 해체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어쨌든 한나라당 의원들이 ‘반대’자를 삭제한 것은 큰 변화에 속한다. 통합에 아무도 찬성할 수 없도록 꽁꽁 묶어 놓았던 사슬을 끊음으로써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기 때문. 이제는 민주당 군의원들이 선택할 차례다. 이번에 한나라당 의원들끼리만 ‘반대’자 삭제를 결의한 것은 민주당에서 반대했기 때문이다.
김영권 통합반대특위 위원장(민주당·문의)은 “한나라당에서 정식으로 반대특위 명칭 변경을 요청하려면 서명해서 공문으로 접수해야 한다. 그러면 특위를 소집해 이 안건에 대해 토의한 뒤 다수결로 결정할 것이다. 그런데 한나라당과 민주당 의원이 각각 5명씩이다. 만일 찬·반 의견이 동수로 나오면 위원장이 결정할 수 있도록 돼있다. 나는 명칭변경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청주·청원 주민의 과반수가 통합을 원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주당 청원군의원들도 ‘반대’자 삭제에 동의해야 한다는 게 지역여론이다.
청주·청원 통합 릴레이인터뷰<4> 한장훈 충북공동모금회 회장
“이제는 통합해야 할 때···개인욕심 버리자”

한 회장은 “세종시가 교육과학경제도시가 되면 배후도시인 청주와 청원은 득보다 실이 많다. 이제는 도시의 발전이 국가의 발전이므로 도시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또한 청주는 다른 지방도시들과 경쟁하게 돼 힘이 있어야 한다. 양 지역이 사는 길은 통합이다. 서로 분리돼 있는 한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 회장은 또 계란 노른자와 흰자 형태로 돼있는 양 지역의 지형적인 인프라와 청주의 인적 인프라를 합치면 얼마나 힘있는 지자체가 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4년에는 정부에 의해 강제통합 된다고 하는데 그 때 통합되느니 올해 하는 게 좋지 않은가. 1년이면 세상이 확확 바뀐다. 4년 후에는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면서 “통합이 안되는 것은 지역이기주의와 개인의 욕심 때문이다. 지역을 위한다면 양 지역의 지도자들은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는 말로만 통합을 주창하는 게 아니고 최근에는 몇 몇 인사들과 행동에도 나섰다. 통합의 필요성을 전파하고 ‘전도사’ 역할을 하고 있는 것. 때로는 악역도 해야 하는 이 일을 자처한 것은 통합이 청주와 청원의 숙원사업임에도 두 번씩이나 부결되고, 세 번째인 이번에도 진통을 겪기 때문이라고.
지난달 29일 한나라당 소속 청원군의원들이 통합반대특위에서 ‘반대’자를 삭제한 것에 대해서는 매우 전향적인 자세라고 환영했다. 통합이라는 명제를 놓고 양 지역 대표들이 대화를 해야지 문을 닫아걸고 있는 것은 좋은 태도가 아니라는 그는 이를 계기로 한 발짝씩 가까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 회장은 “요즘 농촌이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가. 청주시민들도 청원군민들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청주와 청원은 역사적으로 한 뿌리였기 때문에 애정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지역에서는 한 회장을 비롯한 어른들의 활동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