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수 개선 원앙·황조롱이·맹꽁이 등 서식
청주 무심천이 1급수로 개선되면서 원앙과 법종 보호종 황조롱이, 흰목물떼새가 날아드는 등 생태하천으로 탈바꿈 했다. 또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맹꽁이와 환경지표식물로 여겨지는 낚지다리 군락지도 발견되는 등 시민휴식공간과 생태하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청주시에 따르면 2002년부터 사업비 136억원을 들여 자연친화적 생태하천 사업을 추진한 결과 멸종위기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하천과 시민들이 즐겨찾는 웰빙공간으로 거듭났다.
최근 무심천에는 물억새길을 따라 담소를 나누거나 음악 감상과 함께 산책로를 걷는 모습이 일상화 됐다. 또 자전거 도로와 체육·편익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부쩍 늘었다.
이처럼 무심천이 웰빙·생태공간으로 탈바꿈한 것은 2002년부터 추진된 무심천 자연형하천 조성사업이 큰 몫을 했다. 시는 상당구 지북동 시계에서 문암동 합류부까지 12km 구간에 대해 상류구간은 자연생태형 하천, 도심구간은 친수형, 하류지역은 자연생태형과 정화형 공간으로 복원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무심천 지류 율량천 자연형 생태하천 복원사업도 2007년부터 추진, 2년간 29억원을 들여 2.3km 구간에 수변분수대와 수변관찰로, 쉼터를 조성했다.
영운천 생태하천 정비사업도 2010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중으로 무심천 합류부에서 동부우회도로 2.6km 구간 인공 시설물 철거와 산책로, 여울, 수변광장 등이 조성된다.
시는 이에 앞서 2008 생태하천 홍보물 전국 공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또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에 미호천이 선정되는 등 성과를 거둬 전국 지자체에서 모범사례로 벤치마킹 대상지로 선호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무심천과 지류 자연형 하천복원 사업을 통해 수질이 크게 개선돼 멸종위기 야생동물과 법정보호종 등 종전에는 볼 수 없었던 동식물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거듭났다"며 "시민들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가꿀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앙과 흰목물떼새가 날아드는 등 무심천이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해 시민들의 발길이 부쩍 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