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부터 실사, 도내 대학간 흠집내기 소문 난무
특히 다음달부터 퇴출 대상에 포함된 대학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내에서는 경쟁관계에 있는 대학 간의 흠집내기를 통한 심리전부터 3개 대학이 퇴출대상에 포함됐다는 설까지 난무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학년도 이후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운 부실 사립대에 퇴출이라는 극처방을 내리기로 했다.
사립대학 구조조정 방안의 심의기구인 대학선진화위원회로부터 전국 293개 대학과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경영부실 여부를 의뢰한 결과 30여곳을 통폐합 대상 후보군으로 분류, 올 연말까지 집중 실태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교과부는 실사를 벌일 대상대학은 이미 선정을 마쳤으며, 현재 실사 팀을 구성 중이다. 교과부는 전국 사립대학을 대상으로 학교 발전방안(구조조정안)을 다음달 10일까지 제출토록 했으며, 제출 결과에 따라 실사 대상군을 조정해 실사단을 파견할 것으로 보인다.
실사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도내에서는 경쟁관계에 있는 A대학과 B대학의 경우 실사 대상에 상대 대학이 포함됐다는 설을 흘리고 있다. A대학 측에서는 B대학이 신입생 충원율이 떨어져 퇴출대상이라고 말하는 반면 B대학 측은 A 대학이 유학생 관리에서 문제가 돼 11월쯤 감사를 받을 수도 있다는 말을 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실사 대상 학교로 거론되는 3개 대학은 정작 C, D, E대학이라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C대학은 전문대와의 통합이 추진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교과부 대학선진화과 관계자는 "현재 실태조사를 나갈 대학은 선정됐지만 다음 달 10일까지 학교별 구조조정안을 받아본 후 추가 대상자가 있는지 검토할 것"이라며 "실사를 마친 후 12월에도 전반적인 평가가 내려지는 것이지, 구체적인 학교명단이 발표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사립대뿐 아니라 국립대학에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사립대에 비해 저렴한 등록금 때문인지 신입생충원율로 경쟁력은 갖추고 있다"며 "경쟁력은 둘째치고 교수 인건비조차 충당하지 못하는 대학이 대학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사립대학 구조조정을 맡은 교과부 대학선진화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부실사립대 진단기준은 재정상태와 교육여건을 나타내는 재무지표와 교육지표로 나뉜다. 재무지표는 재학생 충원율 등록금 의존율 운영수익의 3년 연속 증가 여부 등록금 수입에서 교직원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 등 5개 항목이며, 교육지표는 신입생 충원율 중도 탈락률 교육비 환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교원1인당 인건비 학생 취업률 등 6개항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