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충북환경련, 4대강 대응전략 토론회서 제기

4대강살리기 주요 사업이 정부의 계획대로 100% 실현돼도 충북과는 무관한 사업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이 개최한 '4대강 정비사업 본질과 대응방향'정책 토론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염우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정부가 추진 중인 4대강 정비사업과 관련해 충북사업은 구체적이지 않다"면서 "정부사업계획안을 전문가들이 검토한 결과 사업이 정부의 계획대로 100% 실현돼도 충북과는 무관한 사업으로 추진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어 "4대강 사업은 본질과 문제점과는 무관하게 각 지자체가 예산 확보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며 "충북도와 충주시는 무분별한 사업예산 경쟁에 대해 질타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대형댐도 홍수조절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22개의 보를 신설해 물을 채워둔다면 집중호우 시 홍수피해를 막을 방법이 없다"며 "정부가 사업을 추진하며 홍수와 안전한 물공급을 주장하는 것은 사업 자체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김종남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6가지 이유로 "과장된 물 부족 주장, 수생태계를 다 죽이고 홍수엔 약한 이수대책, 수질을 더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보 건설, 수생태계의 황무지, 재정낭비사업, 허구인 녹색성장, 여론을 무시한 사업추진"을 꼽았다.

김 총장은 이러한 정책 추진 사업에 대해 시민 대안으로 "검증과 토론으로 타당한 강 살리기 방안 찾기와 강을 살릴 수 있는 공동연구와 더불어 사업비를 녹색성장을 주도할 분야에 투자하자"고 제안했다.

박정현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4대강 정비사업은 생태적 측면보다 지역발전 전략으로 추진된 사업"이라며 "지역 건설사업을 활성화에만 초미의 관심 사항으로 만들고 있으며, 이는 결국 지방세 감소를 무마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말만 바꾼 4대강 살리기사업'이라는 염 처장은 충북지역 대응계획으로 "대응체계를 정비해 4대강사업 저지충북도민대책위를 결성하고 도민검증단을 구성해 분야별 검증을 전개하고 각 언론에 릴레이 논평을 게재하자"며 "감성프로그램으로 아름다운 강사진 담기, 모래섬 타오르기 등 강의 중요성을 알리는 범국민적인 현장탐방을 개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 현장에는 환경단체 회원과 토론자들이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 허와 실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갖고 앞으로의 대응 수위를 논의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