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보충수업 변질 방과 후 학교 ‘열에 아홉’ 부정적
전국은 일제고사, 교육청은 표집고사에 ‘부담만 가중’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경쟁 일변도의 교육정책이 남발되는 가운데 도내 교사들은 사실상 보충수업으로 변질된 방과 후 학교를 비롯해 수업장학이나 행정장학 대신 표집고사를 치르고 있는 청주교육청의 장학협의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전교조를 비롯한 일선 교사들은 이명박 정부의 경쟁 일변도 교육정책이 공교육을 급속히 파행으로 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23일 서울에서 열린 ‘경쟁만능 MB교육정책 넘어 희망 만들기 전국교육주체결의대회’에 참석한 도내 전교조 교사들.

전교조 충북지부는 학업성취도평가 성적 공개, 진단 평가 등 경쟁교육정책이 남발됨에 따라 일선 교육청과 학교 현장이 급속하게 학력지상주의 일변도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도내 교사들의 생각은 어떤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도내 고등학교 교사 183명, 중학교 교사 194명, 초등학교 교사 361명 등 모두 738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6일~17일까지 인터넷설문조사 사이트를 통해 실시됐으며 지난 1일 그 결과가 발표됐다. 전교조 관계자는 “조합원뿐만 아니라 도내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홍보했으며, 전교조 홈페이지가 아닌 별도의 여론조사 사이트를 통해 답변을 수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충북도교육청은 전교조에 의해 일방적으로 실시된 설문결과라며 애써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인터넷 설문조사에 답변한 샘플만을 가지고 분석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결국 전교조의 의도에 공감하는 사람만 적극적으로 응답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일제고사 대상만 “시험 늘었다”
조사 결과 일단 일제고사 형태로 실시되는 성취도평가, 진단평가의 대상인 초등학교 3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 담당교사들은 시험의 빈도가 절대적으로 늘었다는데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교조에 따르면 ‘올해 시험 횟수가 늘었는가’라는 질문에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담당교사들은 ‘늘었다’라는 답변이 최소 11. 29%(초등학교 5학년), 최대 31.57%(중학교 1학년)에 달했다.

▲ <표1> 시험 늘었나?‘올 들어 시험이 늘었나’라는 질문에 대해선 일제고사 대상인 초3~중3 단위에서만 ‘늘었다’는 답이 우세해 일제고사에 대한 부담이 시험증가로 이어졌음을 반증하고 있다.

이에 반해 고교 3학년 담임들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답변이 60.32%로, ‘그렇다’는 답변 30.16% 보다 2배나 높게 나타나는 등 일제고사 대상이 아닌 초 1,2학년과 고교 1,2,3학년의 경우 ‘늘지 않았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다. 

전교조 충북지부 김명희 수석부지부장은 “일제고사의 대상이 되는 학년에서만 시험이 늘어났다는 응답이 높은 것을 보면 ‘일제고사에 대한 부담이 시험 횟수 증가로 나타났다’고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주교육청 표집고사 ‘효과 없다’
청주교육청 등이 올 들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장학협의 대신 특정학년, 특정학급을 임의로 선정해 표집고사 형태의 진단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적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 교사 가운데 89.05%가 학교현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진단평가에 대해 ‘교육적으로 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것이다. 

▲ <표2> 방과 후 학교는?보충수업으로 변질된 방과 후 학교와 관련해서는 일단 ‘희망에 따라’ 실시해야 하고 교과나 특기적성이냐도 ‘희망에 맡겨야’ 한다는 응답이 90%를 상회했다.

실제로 이 시험은 장학사의 감독 하에 교육청이 출제한 시험지로 표집고사를 치른다는 당초 방침과 달리 장학사가 학교를 방문한 날 학교별로 자체 출제한 문제지로 시험을 보고 채점 결과만 교육청에 통보하는 등 형식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여기에다 기존 공개수업은 동영상으로 만들어 사전에 제출하도록 해 이중의 부담을 안기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장학협의에 대한 목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장학(평균 90.21%)과 행정장학(평균 30.25%)’이라고 응답했다.

이와 함께 ‘방과 후 학교 실시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희망에 의해(90.65%) 또는 희망에 따라 교과와 특기적성으로(93.63%) 실시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김명희 부지부장은 “이번 조사가 많은 학교에서 방과 후 학교에 대해 희망여부를 묻는 가정 통신문조차 보내지 않거나 희망 표시 항목조차 제시하지 않는 권위적이고 강압적인 교육행정이 어떻게 바로잡혀야 하는가에 대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