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의 행정구역통합 계획에 반대하는 청원군민 3000여 명이 22일 통합을 결사저지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날 오후 2시 충청대학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청원군민포럼’ 창립총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청원군의 시승격 추진방침에 끊임없이 간섭하는 청주시의 일방적이고도 오만불손한 시.군통합 주장에 절대 동조할 수 없다”면서 “청주시의 불순한 의도를 꺾기 위해 15만 군민의 힘을 한데 모아 나갈 것”이라고 결의했다.

포럼은 당초 행사참가인원을 2000명 정도로 잡았지만 14개 읍.면에서 3000여 명이 몰리면서 행사장은 입추의 여지가 없었고, 모듬북 공연으로 시작해 창립선언문 낭독, 군수.군의장 축사, 외부인사 특강 등으로 이어진 행사의 열기는 예상보다 뜨거웠다.

포럼의 손갑민 상임공동대표(전 청원군의원)는 인사말을 통해 “(청원)시승격은 거역할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이자 엄숙한 사명이며, 행복한 삶을 위해 기필코 넘어야 할 산”이라면서 “(인구충족 등)법적요건을 충족했는데도 청원시로 승격하지 못한다면 후손들에게 씻을 수 없는 오명을 남기게 된다”고 강조했다.

조방형 상임공동대표(전 청원군의장)는 ‘시.군통합을 하면 어떻게 될까’란 제목의 특강에서 “도시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풍선의 가운데를 누르는 것과 같은 형태로 개발되고, 1970년대 청주시 인구는 15만명으로 현재의 청원군과 비슷한 규모였다”고 설명한 뒤 “청주시도 도심지를 4㎞ 확대하는데 40년이 걸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군통합이 되더라도)청원군은 도시형태로 개발될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초청강사로 참여한 최창규 전 여수시 의원은 “여수시와 여천시.여천군은 4차례의 주민투표를 통해 행정구역을 통합했는데, 당시 시.군간의 통합후 요구사항을 6개 조항으로 압축해 투표용지에 명시하기도 했었다”며 “그러나 현재까지 이행된 것은 단 하나도 없다”면서 행정구역 통합은 시간을 두고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주문했다.

포럼은 설명절 연휴를 보낸 이후 지역현안으로 대두된 통합에 대한 장단점과 청원시 승격의 당위성 등에 대한 논리를 개발해 홍보책자를 발행하고 읍.면순회 설명회를 갖는 한편 회원수를 추가확보해 외연도 넓혀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