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산단 공사현장 산업쓰레기 무단 매립 ‘물의’… 행정당국 의식교정 절실
제천시가 급증하는 공장 수요에 대비하고 2010년 제천한방바이오엑스포를 개최하기 위해 조성 중인 제2바이오밸리가 산업폐기물 무단 매립 등 불법 행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제천시는 왕암동과 봉양읍 명도리 일원 129만 9255㎡에 대한 제2바이오밸리 조성 사업을 충북개발공사의 시행으로 지난 7월 착공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되는 제2바이오밸리 공사는 입주 신청 업체들이 조기 착공을 희망할 경우 2009년 5월부터 사용이 가능하도록 공기를 단축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이처럼 제천시가 제2바이오밸리 조성 사업에 속도를 더해가면서 무리한 공기 단축에 따른 부작용이 노출되는 등 물의를 빚고 있다.
제천시의회 박성하 의원은 지난 24일 열린 151회 임시회의에서 제2지방산업단지의 산업 쓰레기가 무단 매립 실태를 지적했다. 박 의원은 불법 매립 현장을 포착한 사진 자료까지 근거로 제시하며 “(제2산업단지는 주택공사가 조성 중인 강저 민간택지개발 부지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산업 쓰레기 신고량이 2산단보다 10배나 된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시공사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물 웅덩이에 매립하는 등의 수법으로 이를 무단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박 의원은 며칠 간 쓰레기를 파묻는 현장을 지속적으로 목격했다고 주장하면서 “(쓰레기 무단 매립 사실을) 시정질의에 넣었다고 하니 그것을 되파내는 현장도 목격했다”는 충격적인 사실도 증언했다.
이에 대해 엄태영 제천시장은 “(현장 점검 차) 나간 길에 감독 공무원, 현장소장, 충북개발공사 관계자들에게 나무 뿌리 같은 것을 제대로 제거하지 않고 대충 땅에 묻는다든지, 여러 가지 공사가 깔끔하지 못한 것이 일부 들리는데 사실이냐”고 확인한 결과 “일부 그런 오해는 일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엄 시장은 “시에서 민간 감시자를 통해서나 아니면 시의 공무원을 통해서 예의주시할 것”이라며 “시가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 계속 압박을 하다 보니까 그런지 모르겠으나 원인 분석을 해서 무엇이 문제이고 그런 일이 있었다면 어떤 경로에서 그런 일이 있었는지 철저하게 원인분석부터 한 뒤 조치하겠다”라고 약속했다.
한편 제천시는 지난 6월 30일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주민 공모에 의한 자원관리센터(본보 10월 3일자 보도)를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나섰으나 가연성 쓰레기 소각시설과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용량이 실 유입량보다 적게 설계돼 각종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등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박 의원은 이와 관련해서도 “(자원관리센터) 용역업체에서 최초에 턴키 방식으로 수주했을 때 설계방식이 잘못돼 이런 현상이 벌어진 것”이라고 지적한 뒤 “가연성 쓰레기 50톤짜리 하나를 더 만들고 260톤 하수종말 폐수처리장 하나 더 만들고 매립장 용량을 더 늘리면 수백억 원이 더 들어갈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제천시의 안일한 쓰레기 행정을 질타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현재 제천자원관리센터는 이미 설계 상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가연성 쓰레기가 유입 중이고, 음식물 사료화 공정도 당초 처리 용량인 20톤을 초과하는 25~30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반입되는 등 총체적 문제에 직면한 상태다. 또한 대형 폐기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분리장은 아예 시설조차 구비되지 않았고 7월 23일 폭우 때에는 침출수를 모터를 이용해 장평천으로 무단 방류하는 등 시가 환경 파괴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 박 의원의 지적이다.
이처럼 제천시가 의욕을 갖고 추진 중인 대규모 사업들이 번번히 환경 오염 논란을 야기하면서 시정 전반에 대한 주민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어 행정 당국의 의식 교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