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터미널 예정지 충주 가금·살미면 일대 '들썩'


충주 가금면과 살미면을 비롯해 경부운하 예정지역의 땅값이 들썩이고 있어 이르면 오는 3월경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일 것으로 보인다.

추부길 이명박 당선인 비서실 정책기획팀장은 8일 "3∼4월경 대운하 프로젝트의 그림이 확정되면 부동산 투기방지대책도 함께 내놓겠다"고 밝혔다.

특히, 추 팀장은 "땅값 상승 우려가 큰 화물터미널 주변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경부운하는 하천과 하천부지 등 주로 국유지에서 건설되기 때문에 터미널 설치지역을 제외하면 땅투기 가능성은 매우 낮다"면서 "하천 주변에 땅을 사게 되면 낭패를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따라 앞으로 경부운하 터미널 주변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토지거래를 할 수 있고, 취득 후 일정기간 동안은 허가 목적대로 사용해야 한다.

실제로 경부운하의 여객·화물터미널 예정지로 알려진 충주 가금면과 살미면은 개발붐을 타고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난 2005년 달천강 주변지역 거래가격이 3.3당 1만원도 채되지 않았지만, 대통령 당선 발표 후 30만원으로 껑충 뛰었던 것.

충주시 장천리 일대는 그동안 땅값 변동이 거의 없었던 곳이었지만, 한반도 대운하 추진 발표 이후 거의 모든 매물이 사라진 상태다.

충주시 A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지만, 이미 대기자 여럿이 혹시나 하는 기대감에 줄을 서고 있다"며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3.3당 8만원에 거래됐지만 이제는 주인이 부르는게 값"이라고 전했다.

이같은 현상은 충주 외지인 토지매입비율을 보더라도 확인된다. 지난 2006년에는 전체 토지매입비율 중 겨우 20.6%를 차지했지만, 지난해는 46.5%에 달한다.

한편,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가운데 경부운하(길이 540) 구간에는 12개 화물터미널과 40여개 여객터미널이 들어서게 되며, 여객터미널은 10마다, 화물터미널은 50마다 설치될 예정이다.

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화물 및 여객터미널 위치를 정하기 전에 새 정부와 환경단체들이 오는 3월초 공동탐사를 실시한 후 환경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곳으로 선정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