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사업성 관건, 분양가 거품 논란도 걸림돌
여기에 대농지구 5500세대를 포함해 충북개발공사도 호미지구에 이어 또다른 택지개발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층 아파트도 예정된 것만 2000여 세대에 육박하고 있으며 연내 분양이 예정된 오송지구 또한 3000여 세대가 공급된다.
하지만 이런 계산은 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됐을 경우를 가정한 것.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 사업이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진통이 발생하거나 지주조합내 문제가 생기면 지연이 불가피 하다. 한창 공사가 진행중인 사직2·3단지 재건축 사업이 10여년 만에 본격화 된 것이 좋은 예다.
특히 조합을 결성해 정비계획을 수립한다 하더라도 사업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시공사 선정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실제 청주 도심 상업지구에 추진하는 모 사업장이 시공사를 정하지 못해 사업이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주민들도 내심 경계하는 부분이다.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이 충청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면서 용적률이 타 도시 보다 10~20% 적게 적용되고 있고 공원부지와 노외 주차장 면적도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정해졌다는 것.
이훈 청주도심공동화해소대책위원장은 “용적률, 층수 등 사업 여건이 불리하면 시공사는 참여하지 않을 것이며 도시정비 기본계획은 무용지물이 된다. 개발여건을 형평성에 맞춰 타시도와 같이 행정·재정지원, 규제완화, 관련 조례 제정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시공사로 참여할 건설사들도 현재로선 검토 또는 관망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인 재건축·재개발 물량이 쏟아지고 개발이익 환수제 같은 정부의 규제 등으로 사업성이 예전과 같지 않다는 것.
한 건설사 관계자는 “사업 부지의 유치, 주변 여건 등 시공 참여를 위해서는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 많다. 특히 주민들의 지분에 대한 부분은 어느 현장이든 부딪히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도시정비 사업 외에 상업지역 개발사업도 난관이 많기는 마찬가지.
상업지역에 대규모 아파트가 추진되는 만큼 교통문제 해결에도 적잖은 진통이 예상되며 최근 개발 붐을 타고 토지매입가도 수직 상승하고 있어 만만찮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주)동영D&C는 문화동 상업지역 5000여평을 평균 평당 1000여만원에 매입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더욱이 상당로 변 상가 300여평이 사업부지에 포함되지 않아 블록별 통합개발을 선호하는 청주시나 충북도의 입장과 엇갈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개발업체 관계자는 “상업지역 개발시 크게 대두되는 문제가 주변 도로망 확장과 공원 등 기부채납 규모, 층수 등이다. 사직동의 경우 인근 청주대교 확장이 전제조건으로 제시되고 있고 문화동도 옛 법원네거리 확장 등 도로 확장이 논란 거리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청주시가 분양가 거품을 없애겠다며 분양가상한제자문위를 개최하는 등 초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대농1지구 금호어울림의 경우 토지매입을 위해 빌린 은행돈 이자를 모두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정했고 시행사 측이 제시한 평당 분양가 887만원 보다 90만원 낮는 700만원대를 고수하고 있는 것.
남상우 시장이 ‘일수불퇴’라는 표현을 쓰며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어 향후 추진되는 사업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분양가 거품 논란으로 금호어울림이 진통을 겪고 신영 지웰시티도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안다. 토지매입비용과 그 이자를 모두 인정해 주던 관행이 깨지고 있는 것이며 시행사 입장에서도 새로운 고민거리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오 기자
true5@cbi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