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산하 4곳 '세금먹는 하마' 우려
충북도 산하 출연기관이 '세금먹는 하마'로 전락해 통·폐합 추진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일부 기관은 정부의 입맛과 필요에 따라 설립된 후 지금까지 이렇다할 성과를 얻지 못해 자체적인 사업으로는 운영비도 건질 수 없는 애물단지로 변질되고 있는 상태.
충북도가 정보통신·바이오산업·지식산업 등을 중점 육성한다는 취지에 따라 지난 2003~2004년 산업자원부 등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기관은 충북도바이오산업진흥재단, 충북도정보통신산업진흥재단, 충북테크노파크 등 3개 기관. 여기에 충북도 관련 조례에 따라 지난 2003년 7월 67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충북도지식산업진흥원을 설립했다.
하지만, 이들 기관은 기관 명칭만 다를 뿐 기술개발·창업지원·장비임대 등 중복적인 업무추진으로 업무의 차별성을 찾아보기 어렵고, 행정력마저 낭비하고 있어 관리체계 일원화 및 사업체계의 일관성이 시급하다.
바이오산업진흥재단의 경우 지난 2004년 3월 제천시 왕암동 제천산단 내에 국·도비 등 사업비 234억 4000만 원을 들여 전통의약산업센터를, 같은 해 8월 오창과학산업단지 내에 국·도비 248억 9000만 원을 들여 보건의료산업센터를 설립하고 실버 바이오산업 및 한방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재단의 경우 지난 2003년 3월 오창단지 내에 국·도비 525억 8000만 원을 들여 반도체센터를, 사업비 250억 6000만 원을 들여 전자정보센터를 설립했다하고 반도체 소자 및 장비 성능평가지원, 공동기자재 운영, 관련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충북테크노파크는 지난 2003년 12월 오창단지 내에 522억 2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테크노파크사업단을, 국·도비 54억 8200만 원을 들여 전략산업기획단을 설립하고 지역전략 산업 육성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이들 기관이 도대체 어떤 업무를 하는 곳인지 충북도 과장급 이상 중견 간부조차 알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 기관의 주관 부서 또한 경제과인지, 첨단산업과인지, 기업지원과 인지 어리둥절하고 있는 실정.
게다가 테크노파크, 반도체센터, 전자정보센터, 소프트웨어지원센터를 비롯해 지식산업진흥원이 운영하는 충북소프트웨어지원센터에 이르기까지 유사한 기능과 조직이 산재해 있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시너지효과 창출을 위해서는 대대적인 정비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 관계자는 "충북도 관련 조례에 의해 설립된 지식산업진흥원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재단에 대해서는 통·폐합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며 "늦어도 내년 3월까지는 관리체계를 일원화하는 정비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충북도 산하 출연기관들
| 기 관 | 설립일·장소 | 설립예산 |
| 바이오산업진흥재단 | ▶2004년 3월 제천산단 전통의약산업센터 설립 | 234억4000만원 |
| 정보통신산업진흥재단 | ▶2003년 3월 오창산단 반도체센터 설립 | 525억8000만원 |
| 충북테크노파크 | ▶2003년 12월 오창산단 테크노파크 사업단 설립 | 522억2000만원 |
| 충북도지식산업진흥원 | ▶2003년 7월 설립:충북소프트웨어지원센터 운영 | 67억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