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청, 충청대와 ‘캠퍼스 융합형 전공과 운영’ 업무 협약
반려동물·실용음악·호텔파티쉐·호텔바리스타 4개 학과 20명 대상
“특수교육대상자들의 대입 및 취업에 실효성 있는 지원”

충북교육청은 25일 충청대학교와 ‘캠퍼스 융합형 전공과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충북교육청 제공)
충북교육청은 25일 충청대학교와 ‘캠퍼스 융합형 전공과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충북교육청 제공)

 

충북지역에서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졸업하고 전공과에 진학한 학생들이 내년부터는 대입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충청대학교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고, 충청대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실제 대학에 입학하지 않아도 장애 학생들이 대학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어 진학 또는 취업을 보다 구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충북교육청은 25일 충청대학교와 ‘캠퍼스 융합형 전공과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협약을 통해 충북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은 앞으로 충청대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다. 이 수업은 학점은행제와 연계, 학생이 대학에 진학할 경우 학점으로도 인정받는다.

예를 들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이 충청대에서 20학점을 이수했을 경우, 이후 대학에 진학한다면 대학에서 이수해야 할 총 학점 140학점에서 20학점을 뺀 120학점만 이수해도 대학 졸업을 인정받을 수 있다.

또한 대입이 아닌 취업을 선택한 학생은 실제 취업 현장과 유사한 대학의 시설을 활용한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취업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교육청 창의특수교육과의 A씨는 “사실 장애 학생들은 대학 진학 이후 적응과 학습의 어려움 등으로 자퇴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대학에 보다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뿐 아니라 취업을 원하는 학생에게도 대학의 실습 공간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실제 취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고교 졸업 이후 진로 선택을 다양화할 수 있고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들이 충청대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과는 △반려동물학과 △실용음악과 △호텔파티쉐 △호텔바리스타 등 총 4개 학과이다.

이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전공과 학생은 총 20명(한 반당 10명씩 총 2개 반)으로, 도교육청은 심층 면접과 직업기능 평가를 통해 학생들을 선발할 예정이다. 전공과 1학년 시기에는 충청대의 4개 전공을 두루 접할 수 있고, 2학년 시기에는 세부 전공을 보다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도교육청의 A씨는 “이 사업은 교육부에서 진행하는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 담겨 있는 사업이다 보니 교육부 특별교부금으로 진행할 계획이다”라며 “이후 수요가 더 많아진다면 남부권, 북부권 대학과도 연계해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특수학교는 유초중고 과정 이후 전공과 2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공과는 고등학교 과정을 마친 특수교육 대상자에게 1~2년 동안 진행되는 과정으로 진로 및 직업 교육, 취업, 사회 적응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그동안 특수학교에서 진행된 전공과는 교육의 질이 낮고 진로지원 부족, 열악한 환경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