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병원 조합원 1151명 중 908명 파업 찬성
“더 이상은 안돼”…인력확충·실질임금 인상 촉구
환자 검사 인력 비정규직 채용, 8년째 처우개선 전무
공공운수노조, 17일 서울서 1만여 명 참여한 투쟁 전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17일 총파업을 선언한 가운데 충북대병원 노동자들과 돌봄 노동자들이 17일 공동파업을 진행한다.
의료연대본부 충북지역지부 충북대병원분회는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진행한 파업 찬반투표 결과를 발표하고 17일 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투표에는 조합원 1151명 중 987명(85.8%)이 참여했고, 이 중 908명(92%)이 파업에 찬성했다.
이날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공공의료 강화 △환자 안전을 위한 정규인력 충원 △착한 적자 정부 지원 확대 △지역의료 국가책임 강화 등을 요구했다.
특히 충북대병원의 열악한 의료 환경을 지적하며, ‘인력확충’과 ‘실질임금 인상’ 등을 강조했다.
지난해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지방 공공병원의 의료 환경과 재정은 말 그대로 ‘대란’이었음에도, 정부와 병원 측은 △총인건비제 △혁신가이드라인 △경영평가 등을 이유로 개선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것.
충북대병원분회는 “병원은 2023년 임상진료연구동 건립 후 환경 운영직 직원과 환자를 직접 검사해야 하는 인력까지 비정규직으로 채용하고 현재 비정규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며 “정규직 인력 충원 없이는 환자와 노동자, 그 누구의 안전도 지킬 수 없다”고 지적했다.
충북대병원 측은 인력 충원과 관련 교육부와 기획재정부가 승인을 해야 한다는 이유로 비정규직을 채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대병원분회는 나아가 갈수록 악화되는 병원의 적자폭을 지적했다.
의료연대가 밝힌 ‘11개 국립대병원의 지난해 손익 분석’표에 따르면, 충북대병원의 2024년 손익은 마이너스 418억 6300만 원이다. 이는 2023년(마이너스 46억 3100만원) 대비 804% 늘어난 수치다.

충북대병원분회는 “충북대병원은 개원 이래 최대 적자인 418억 적자를 기록하고, 운영자금 부족으로 마이너스 1200억 대출까지 가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국립대병원 적자 폭등은 지역필수 공공의료 위기로 찾아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병원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적자(착한 적자)에 대해서는 국가 및 지자체 책임을 강화하고, 인건비 등 운영을 위한 정부의 충분한 재정지원, 기금 마련 등 예산과 관련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충북대병원분회는 실질임금 인상과 운영지원직 처우개선을 촉구했다.
2017년 용역근로자를 정규직 직접고용으로 전환했지만, 이들의 처우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것.
이들은 “병원은 항상 처우개선에 난색을 표하며 ‘고용보장과 정년보장이면 되지, 정규직과 평등한 처우는 안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을 총인건비 규제로 묶어놓아 정규직과 운영지원직이 임금을 나눠 가져야 하는 꼴로 만들어 놓았다”며 “병원은 또다시 정부 핑계를 대며 어렵다는 말만 반복한다”고 비판했다.
충북대병원분회는 이와 관련해 경영진들과 지난 6월 이후 본교섭 5회, 실무교섭 7회를 거듭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한편 공공운수노조는 17일 오후 3시 서울 숭례문 앞 세종대로에서 ‘공공기관 노동자 총파업·총력투쟁대회’를 연다.
약 1만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대회에서 노동자들은 △공공기관 노정 교섭과 법 개정 △총인건비제 전면 개선 △윤석열 정부 직무성과급 지침·혁신가이드라인 폐기 △현장 인력 충원과 안전한 일터 구축 △공공서비스 공공성 확대·정부 재정 책임 강화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차별 철폐 대책 수립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공공운수노조 충북지역본부도 이날 상경 투쟁에 앞서 충북도청 앞에서 출정식을 열고 결의를 다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