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충청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충북시민사회지원센터 대회의실에서 ‘폭염 속 사회적 불평등과 기후취약계층 보호방안 모색’을 주제로 2025 폭염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폭염 증가로 인해 더욱 심각해지는 사회적 불평등을 조명하고, 고령자·저소득층·장애인 등 기후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에 나선 임완섭 연구위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기후위기가 불평등한 책임과 불평등한 피해를 동반한다”고 지적했다.
임 연구원은 영국·미국 등 주요국 사례를 통해 기후취약계층을 위한 보건·에너지·주거 통합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기후복지 관점의 사회보장제도 강화를 촉구했다.
김현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국내의 폭염 대응 정책이 선별적·일회적 지원에 그치고 있으며, 정보 접근성, 주거환경, 에너지비용 부담 등에서 제도적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고 밝혔다. 노필순 강사(충북대학교)는 “충북의 에너지빈곤층은 에어컨이나 냉난방기기 이용률이 현저히 낮고, 그로 인해 폭염·한파에 심각한 건강 피해를 겪고 있다”고 경고했다.
최선행(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폭염은 열사병,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등으로 직결되며, 고령자·만성질환자 등 취약계층에게 치명적임을 수치 기반으로 제시했다.
최 교수는 “폭염 건강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의 정책 설계, 조기경보체계, 냉방 지원, 의료접근성 강화 등의 예방 중심적 보건복지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정현 (충북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운영위원장은 “저소득층의 노후주택, 단열 미비, 냉난방시설 부족 등이 기후위기 상황에서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가와 지자체가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기후위기 적응형으로 전환하고, 쉼터·에너지효율 개선·이주지원 등 체계적인 주거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