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 사람 죽은 것…오송에 혐오시설 들어오면 땅값 떨어진다】 기사 관련
민언련 “유가족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기사…증오와 편견의 스피커”
묶음기사

충북민언련이 본보가 보도한 <“타지 사람 죽은 것…오송에 혐오시설 들어오면 땅값 떨어진다> 제하의 기사에 대해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10일 충북민언련은 ”이 기사는 오송참사 2주기를 앞두고 일부 지역 주민의 반대 발언을 다루면서, 유가족과 생존자,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가 추진 중인 ‘희생자 기억의 길’ 사업을 ‘혐오시설’로 낙인찍고, 지역 이미지를 훼손하는 것으로 묘사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희생자 기억의 길’ 사업을 ‘혐오시설’로 낙인찍고, 지역 이미지를 훼손하는 것으로 묘사했다“며 “해당 보도는 유가족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이며, 혐오를 조장할 수 있어 무책임한 보도태도”라고 지적했다.
충북민언련은 “일부 주민 발언을 그대로 따옴표로 옮기고 있을 뿐, 사실 확인이나 발언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지 않았다”며 “맥락 없이 발언을 전면에 노출시키는 방식은 언론이 증오와 편견의 스피커 역할을 자처하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도는 중립을 가장했지만, 사실상 유가족과 시민사회의 활동을 지역 갈등의 원인으로 몰아가는 여론 형성에 기여하고 있어 그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며 “몰지각한 일부 의견을 보도하고 싶었다면 비판적 시각에서 철저히 발언과 행태를 검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본보는 <“타지 사람 죽은 것…오송에 혐오시설 들어오면 땅값 떨어진다>기사에서 호소문을 발표한 오송지역 주민단체 핵심관계자 A씨와 이 지역주민단체 B씨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기사에서 인용보도한 A씨와 B씨의 인터뷰 발언은 충북민언련이 언급했듯이 유가족과 생존자,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가 추진 중인 ‘희생자 기억의 길’ 사업을 ‘혐오시설’로 규정한 발언이다.
또 오송참사 희생자를 ‘동네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구분했고, 오송참사희생자 유가족에 대해 ‘피해자 코스프레 갑질’이란 용어까지 사용했다.
본보는 이들의 인터뷰 내용이 ‘큰 사회적 충격과 논란’이 대상이 될 것이라고 판단해 이들의 발언내용을 여과없이 보도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대입하지 않더라도, 상식을 가진 시민들이라면 이들 단체의 발언에 대해 충분히 평가를 내릴 것이라고도 판단했다.
본보는 충북민언련의 비판에 대해 겸허히 수용하고, 우리 보도가 사회적 참사를 진상규명하는 것과 유가적돌의 슬픔을 치유하는 공익적인 도구가 될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전한다. 특히 <아리셀 화재 참사> 희생자 유가족을 구성원으로 둔 언론사로서 깊은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함께 전한다.
다음은 충북민언련 성명 전문이다.
“기억의 길”은 혐오시설이 아니다
유가족과 시민사회를 향한 혐오 조장보다는 책임 규명을 위한 질문부터 하자
2025년 7월 10일 <충북인뉴스>는 “타지 사람 죽은 것…오송에 혐오시설 들어오면 땅값 떨어진다”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오송참사 2주기를 앞두고 일부 지역 주민의 반대 발언을 다루면서, 유가족과 생존자,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가 추진 중인 ‘희생자 기억의 길’ 사업을 ‘혐오시설’로 낙인찍고, 지역 이미지를 훼손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해당 보도는 유가족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이며, 혐오를 조장할 수 있어 무책임한 보도태도라고 볼 수 있다. 이 기사에서는 일부 주민의 극단적 발언을 인용하며 ‘땅값 떨어진다’, ‘페인트로 지워버리겠다’는 문장을 전면에 배치했다. 이는 오송참사 유가족의 애도와 기억 활동을 마치 ‘혐오스러운 것’, ‘없애야 할 것’으로 호명하며, 희생자와 그 유가족에 대한 2차 가해를 언론이 정당화·확산시킨 중대한 사안이다.
특히, “타지 사람 죽은 것”이라는 표현을 제목에 그대로 인용한 것은 희생자와 유족이 이 지역 사람도 아니므로 기억할 가치도 없다는 식의 배제 논리를 언론이 재생산한 것과 다름없다. 이는 사회적 참사를 겪은 유족들에게 또다시 ‘여기 있을 자격이 없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폭력이며, 정당한 공적 애도를 ‘지역 이미지 훼손’으로 전도하는 혐오 담론에 편승한 것이다.
이 기사는 일부 주민 발언을 그대로 따옴표로 옮기고 있을 뿐, 사실 확인이나 발언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지 않았다. 맥락 없이 발언을 전면에 노출시키는 방식은 언론이 증오와 편견의 스피커 역할을 자처하는 것과 같다.
보도는 중립을 가장했지만, 사실상 유가족과 시민사회의 활동을 지역 갈등의 원인으로 몰아가는 여론 형성에 기여하고 있어 그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몰지각한 일부 의견을 보도하고 싶었다면 비판적 시각에서 철저히 발언과 행태를 검증해야 한다. ‘기억의 길’을 ‘혐오시설’로 규정하는 프레임은 애도와 기억의 권리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키고, 공적 추모 공간을 정치적 표적으로 만드는 위험한 행태다. 오전에 출고된 해당 기사는 오후 들어서 <“타지 사람 죽은 것…집값 떨어진다”… 추모 외면한 채 '땅값 걱정' 비판>으로 제목과 내용이 일부 수정됐다. 이후 보도들은 책임감을 갖고 저널리즘의 정도를 보여주길 기대한다.
충북민언련은 오송참사를 겪으면서 지역언론이 공동체의 안녕과 상처 회복을 위해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책임을 묻고,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애도공동체 형성을 위한 역할을 해주길 주문한 바 있다. 오송참사 2주기를 맞아 언론이 해야 할 일은 진상규명을 위해 명확한 책임을 묻는 것이다. 땅값 운운하며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우리 이웃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혐오를 조장해서는 안된다.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과 생존자들의 사투를 기리며 다시는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도록 언론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
2025년 7월 10일
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