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농촌 읍면단위 주민 조직 자치력 강화 방안’포럼 열려

9일 충청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농촌 읍·면 단위 주민 조직 자치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지속가능발전 충북포럼을 개최했다.
9일 충청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농촌 읍·면 단위 주민 조직 자치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지속가능발전 충북포럼을 개최했다.

9일 충청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농촌 읍·면 단위 주민 조직 자치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지속가능발전 충북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공동체 기반 약화 등 농촌이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 주민 스스로 자치 역량을 강화하고 충북형 농촌 공동체 모델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에 나선 구자인 마을연구소 소장은 농촌 주민 자치력 약화의 원인을 분석하며, 홍성군 장곡면과 청양군의 사례를 통해 주민 주도 읍·면 발전 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영철 충북대학교 특별연구원은 “민관 협력 기반의 비영리 네트워크 법인인 '앵커 조직'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역 밀착형 조직이 농촌 문제 해결의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정연 충북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괴산군과 청주시 사례를 바탕으로 농촌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간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송기선 옥천군 농촌활력지원센터장은 ”중간지원조직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지역 문제 해결을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옥천군 사례를 통해 청년 인력 육성, 지역 순환 경제 구축 등 실제 성과를 소개하며. ‘한국형 농촌조직(K-RMO)’ 도입을 제안했다.

원세용 청주대학교 교수는 민관협치와 공동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