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조차 받지 않는 설명회, 강압적인 결과물 제출 등 우려
말로만 자율, 교육지원청별로 장학사가 전화 돌려 압박
“대규모 박람회 규탄, 자율성 보장, 교육여건 개선 우선돼야”
묶음기사

충북교육청이 오는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4박 5일간 충북교육박람회를 개최한다고 밝힌 가운데 교원단체가 이를 강하게 규탄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박람회를 ‘도민이 주인공이 되는 행사’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정작 박람회의 중요한 주체인 교사들의 의견을 전혀 반영하지 않았고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
이들은 결과물 제출에 대한 압박, 보여주기식 교육 활동 전시, 학생 동원 등을 우려하며 박람회의 대규모 개최를 규탄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4일 성명을 내고, 충북교육청의 일방적 충북교육박람회 추진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도교육청의 모든 결정이 일방적으로 내려지고 통보되는 현실에서, 누구를 진정한 주인공으로 삼겠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박람회와 관련된 도교육청의 설명회를 지적했다.
지난 3일 개최된 유‧초‧중‧고‧특수학교 및 직속기관, 교육지원청, 도교육청 업무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명회는 형식적인 질의응답 절차를 거쳤고, 일부 지역은 15분 남짓 진행됐으며 교사들의 질문조차 받지 않았다는 것.
또한 “도교육청은 박람회가 ‘충북교육 정책을 담고 다양한 교육 활동 사례를 공유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소개하지만, 현실은 실효성 없는 에듀테크 사업과 각종 홍보 사업에 예산이 낭비되고, 민원 대응 시스템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교사들은 각종 악성 민원과 교권 침해 등으로 몸과 마음이 병들고 있다”고 일갈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교육청은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결과물을 제출하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장학사가 학교에 전화를 돌려 관리자와 교사에게 압박을 가하는 일이 매년 반복되고 있어 진정한 자율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폭로했다.
이어 “그럴듯한 전시를 위해서는 결과물 준비나 완성을 위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학교 현장에서는 보여주기식 교육 활동 결과보다는 수업 과정과 학생 참여, 성취기준 달성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공감과 동의 없는 충북교육박람회 대규모 개최 규탄 △교육 활동 결과물 제출시 학교의 자율성 보장 △본질적인 교육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육여건 개선 등을 요구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이번 박람회는 충북의 주요 핵심정책과 연계해 ‘숨결’, ‘꿈결’, ‘바람결’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 ‘다양한 교육 활동 사례 체험과 성과 공유로 실력다짐 충북교육 추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난해 치러진 교육박람회를 지적하며 이를 개선하지 않은 박람회 개최를 우려하고 있다.
충북지역 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A씨는 “지난해 진행된 박람회에서도 학생들이 동원됐다. 그 결과 학교에서는 제대로 된 교육활동을 하지 못했고 차질을 빚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