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진하고 있는 노동자들. 사진=뉴시스.
행진하고 있는 노동자들. 사진=뉴시스.

4월 28일은 산재사망 노동자의 날이다.

1993년 5월 10일 태국 장난감 공장에서 대형 화재참사로 188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국제노동기구(ILO)가 4월 28일을 '세계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로 지정했다.

미국·영국 등 19개 국가가 이미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추모행사를 열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해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비로소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오는 4월 28일이 국가기념일로써 첫 산재사망 노동자의 날이다.

이에 연계해 민주노총은 23일 서울고용노동청 앞에서 '작업중지권 쟁취! 노동자 참여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결의대회를 열었다. 

국가기념일 지정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실질적인 산재사망을 줄일 수 있도록 법제화가 조속히 진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결의대회에서 민주노총은 "4월은 봄이지만 죽고 또 죽는 일터의 현실은 여전히 참혹하다"며 "민주노총은 작업중지권의 실질적인 보장, 노동자, 노동조합의 참여를 위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투쟁, 건강권 쟁취 투쟁에 전면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선언했다.

발언대에 선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어떤 것보다 노동자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작업의 속도보다, 상품의 질보다, 비용의 절감보다 생명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노동자의 안전은 뒷전이다. 비용을 절감하고 이윤을 높이기 위해 노동자의 안전은 외면당합니다. 생명을 경시하는 자본의 태도 때문이고, 솜방망이 처벌로 면죄부를 주고 집값 때문에 싱크홀을 숨기는 법원과 정부의 작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자리에는 지난해 23명의 생명을 앗아간 리튬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산재사망 유족이자 본보 기자인 최현주 기자도 단상에 올랐다.

최 기자는 "참사 이후 유가족들은 고용노동부, 국회, 박순관 자택을 다니며 투쟁했다. 10월부터는 에스코넥 앞에서 천막농성도 벌였다. 책임자 처벌, 진상규명, 합당한 배보상을 촉구했다"고 그 간의 과정을 설명하며 "그런데 우리 유가족들은 아직도 억울하고, 아직도 참담하다. 박순관과 박중언의 만행이 드러났지만, 우리는 아직도 사과 한마디 듣지 못했다. 그리고 현재 매주 수원지방법원을 오가며 그들의 파렴치함을 마주하고 있다"고 참담한 현실을 알렸다.

산재사망 노동자를 기리는 위령제를 시작으로 주요 살인기업을 규탄하고, 광화문 행진으로 마무리되는 집회에서 민주노총은 위험작업 작업중지권, 노동자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 할 권리, 중대재해처벌법 엄정 집행, 사고와 과로사 막는 인력 기준 법제화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