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4분기, 전국 평균 상가 공실률 13.0%, 2년 전보다 0.2% 감소

충북 상가 공실률은 오히려 16.3%에서 19.5%로 상승

17개 시‧도 중 세종시(24.1%) 다음으로 높아

287개 상권 중 공실률 30% 이상 지역 8곳, 충북이 4곳 차지

성안길 31%, 충북대 30%, 충주자유시장 34%, 제천중앙시장 33%

한국부동산원이 제공하는 중대형상가 임대 공실률을 살펴본 결과 충북지역 상권이 추락에 추락을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제공하는 중대형상가 임대 공실률을 살펴본 결과 충북지역 상권이 추락에 추락을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제공하는 중대형상가 임대 공실률을 살펴본 결과 충북지역 상권이 추락에 추락을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실률은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시 다음으로 높았고, 지난 2년간 공실률이 20% 가량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중대형상가 공실률에 따르면 충북 청주시 성안길 상권의 경우 공실률이 무려 31.1%를 나타냈다.

이는 같은 시기 전국 평균 13%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로, 한때 전국 5대상권으로 불렸던 청주 성안길 상권의 몰락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외에도 충주자유시장 34.2%, 제천중앙시장 32.6%, 청주 충북대학교 30.8%로 나타났다.

더 놀라운 것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87개 지역별 상권 중 공실률이 30%를 넘은 곳은 전국적으로 8곳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경북 포항중앙시장이 37.3%로 가장 높았고, 경북 영주중앙시장 33.5%, 대구 서문시장‧청라언덕이 34.3%, 경남 거제옥포시장이 30.7%를 기록했다.

공실률 상위 8개 상권 중 절반인 4곳이 충북에 소재한 것이다.

2년전과 비교해 봐도 최악

 

전국 17개 광역시도별로 비교해 본 결과, 2024년 4분기 중대형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24.1%를 기록한 세종시로 나타났다. 이어 충북이 19.5%, 전북이 18.9%로 나타났다.

공실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이 8.9%로 나타났다. 이어 제주가 9.1% 경기 10.0%로 확인됐다.

2년 전인 2022년 1/4분기와 비교해 봐도 충북지역 상가 공실률의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난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충북의 경우 2022년 1/4분기 당시 16.3%였다. 2024년 4분기에 19.5%를 늘어난 것인데, 2년 만에 20% 가량 상가 공실이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성안길의 경우 24.8%에서 31.1%로 늘어났고, 충북대상권은 20.6%에서 30.8%로 상승했다. 충주연수칠금의 경우 8.7%에서 18.1%로, 제천중앙시장의 경우 23.6%에서 32.6%로 공실률이 높아졌다.

반면 이 기간 전국 평균공실률은 13.2%에서 오히려 13%로 0.2%가량 줄어 대조를 이뤘다.

공실률, 즉 빈 상가가 늘어나면서 1㎡당 임대료도 낮아졌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청주 성안길의 경우 2022년 1/4분기 당시 1㎡당 임대료는 3만780원이였는데, 2024년 4/4분기에는 2만9350원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전국평균치는 1㎡당 2만5520원에서 2만6490원으로 오히려 상승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