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국감을 앞두고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피켓팅 중인 오송참사 피해자들이 대면하고 있다. (사진=충북인뉴스DB)
지난 10월 국감을 앞두고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피켓팅 중인 오송참사 피해자들이 대면하고 있다. (사진=충북인뉴스DB)

 

김영환 충북지사가 503일 만에 오송참사 유가족과 면담을 가졌다.

지난 12일 도청에서 진행된 2차 면담에서 김 지사는 "피해자 지원을 위해 가능한 많은 방안을 찾겠다"고 약속했지만, 유가족은 "확실한 실행계획이 없는 두루뭉실한 답변이었다"며 실행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러한 김 지사의 태도에 국정감사, 탄핵 소추안 의결 등 국정의 큰 사건을 앞두고 유가족을 만나 형식적 자리를 갖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12일 진행된 면담에서 오송참사 유가족 생존자 협의회와 시민 대책위는 △재난 대응 체계 개선 등 재발방지 대책 마련 △심리치료 등 피해자 지원 △추모비 건립 등 추모사업 분야의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또한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에 있어서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등 피해자 권리 보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김 지사는 “지원 방안을 가능한 많이 찾아보겠다”며 “소통은 항상 열려있고 논의를 통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이를 약속하며 유가족과 개인적인 연락을 주고 받는 등 소통 창구를 만들겠다고 장담하였으나, 유가족들은 “피해자들은 이제껏 여러 문제들에 대해 충북도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도움받지 못했다”며 “1년 반 전인 첫 면담 때도 정례회를 갖자고 했지만 한 번도 지켜진 적이 없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오송참사시민대책위는 “충북도는 매번 원론적 답변만 반복할 뿐 신뢰할 수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선영 오송참사시민대책위 집행위원은 “지난 10월 충북도 국정감사를 앞두고 가진 부지사 면담 자리에서도 적극 소통을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며 “오송참사 1주기 이후로 지속적으로 면담을 요구하고 3차례의 공문에도 답장이 없더니 이제와 검토하겠다고 한들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김 지사는 수많은 기회가 있었음에도 유가족과 논의 테이블을 만들지 않았다”며 “몇 차례의 면담조차 매번 말뿐인 데에 그치고 있다. 김 지사가 큰 사건을 앞두고 유가족과 면담을 갖는 것 같다는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한편, 충북도는 피해자들의 요구사항에 관해 검토를 거쳐 오는 28일 오송참사 유가족 회의에서 답변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