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회 행안위 국감서 참사 당시 김영환 지사 행적 도마 위

 

국회 행안위 충북도 국정감사에서 이광희 의원이 김영환 지사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국회방송 유튜브)
국회 행안위 충북도 국정감사에서 이광희 의원이 김영환 지사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국회방송 유튜브)

 

17일 열린 행안위 충북도 국정감사에서 쟁점은 역시나 오송참사였다. 김영환 지사의 대응에 대한 질타로 시작해 오송참사에 대한 국정조사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이광희 의원은 "충북도는 침수위험에 대해 이미 알고 있었다"며 "그런데도 재난안전실 직원들은 비상 1단계가 발령됐을 때 메뉴얼대로 근무하지 않았다. 도로관리사업소가 비상근무를 하는지 안하는지도 점검하지 않았다. 사고 당일 총 4회 신고전화를 받고도 조치하지 않았다. 상황판단회의도 안했다. 정보분석평가회의도 안했다. 침수취약시설 사전 예찰도 안했다. 사고 당일 새벽 4시 10분에 홍수경보 재난문자를 받고도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도로사업소· 도로과·경찰·소방 등에 전파하지도 안했고, 차량 통제도 안했다"고 처참했던 대응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이 의원은 김영환 지사의 부적절한 행보와 판단력의 문제를 지적했다. 이 의원은 "14일 충북도에 비상 3단계 조치가 내려졌는데도 서울행 일정을 고집했고, 참사 당일 상황보고를 받고도 참사 현장이 아닌 괴산으로 향했다. 재난 점검 회의도 10분만에 끝냈다"며 "재난대응 책임자로서 부적절한 판단의 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김영환 지사와 이범석 시장, 두 단체장의 명백한 책임 조사를 위한 국정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용혜인 의원도 국정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용 의원은 "김 지사와 이 시장을 제외한 공무원들은 모두 재판과 징계를 받고 있다. 재난안전대응이 완전히 실패했음에도 선출직이라는 이유로 단체장들은 처벌을 피하고 있다. 이래서 국정조사가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감장에 참석한 '747번' 버스기사 故 이수영 씨의 아들 이중훈 씨는 "국감을 통해 책임을 지고 작은 진실이라도 밝혀내려는 모습을 기대했지만 끝까지 무책임으로 일관하는 모습이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사고 발생 전부터 수많은 위기를 알았음에도 통제하지 않았던 충북도와 청주시, 보고를 받지 못했다는 둥 피해자 지원을 안하겠다는 둥 비상식적인 상황이 연달아 벌어지고 있다. 국감 현장을 지켜본 유가족과 생존자들 모두 분노할 것이다. 국정조사를 통해 명명백백 진실을 밝혀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충북도 국감을 마친 의원들은 참사가 발생했던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를 찾아 현장점검도 벌였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