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도(도지사 김영환, 국민의힘)가 2032년까지 도내 모든 하천 수질을 1등급으로 상향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환경단체 관계는 ‘물타기용’이라고 절하했다.
.7일 충북도 정선용 행정부지사는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올해 5770억원 등 2032년까지 2조5200억원 이상을 투입해 다양한 수질개선 사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2032년까지 모든 하천의 수질을 1등급으로 개산하겠다고 밝혔다.
충북도는 먼저 하천 오염 원인을 조사·분석하고 오·폐수 무단 방류 등을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도내 하천별 오염원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매달 주요 하천(53개 지점)의 수질 모니터링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도와 시·군 특별사법경찰로 구성된 11개 단속반을 운영해 불법행위를 점검하고 위법 사항은 강력 조치하겠다는 것이다.
생활하수, 산업폐수 처리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에 2032년까지 2조5292억원을 연차적으로 투자한다.
1조5436억원을 들여 공공하수처리시설을 확충한다. 하수도 보급률을 현재 89.5%에서 96.5%까지 높이고 미처리 구역 관리를 강화해 생활하수 오염을 막겠다는 것이다.
환경관리인 컨설팅과 공공폐수처리시설 확충에 2874억원,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신설과 축사환경 개선에 2014억원을 투입한다. 비점오염저감시설 확대(11곳→19곳) 등에 3080억원, 하천 주변 쓰레기 수거·바이오가스화 사업에 1888억원을 투입한다.
충북도의 발표에 대해 환경단체 관계자는 “핵심은 외면한 채, 근거없는 장밋빛 청사진만 늘어놨다”고 비판했다.
박종순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산업단지나 축산분뇨 등 오염물질 유입원에 대한 저감대책이 없다”며 “오염물질 유입원에 대한 저감대책 없이, 어떻게 수질을 개선한다는 것인지 도대체 모를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염물질 배출원을 줄여야 하는데, 충북도는 오창네오테크밸리 산업단지 개발에 나서고 옥천 대청호 골프장에 대해선 별다른 입장도 없다”며 “하천 수질 개선은 추가 오염물질 배출 요소를 묶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영환 지사는 ‘레이크파크르네상스’를 이야기하며 하천 주변의 환경 규제를 없애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9월말까지 지속된 대청호 녹조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국장은 “오염물질 유입원도 늘리면서 하천 수질을 1급수로 만든다는 것”이라며 “흙탕물을 하천에 유입시키면서 세금으로 천연암반 생수를 쏟아붇는 대책”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오염물질 배출 단속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면서 “추가 오염물질 배출 요소를 줄이는 정책에서 시작하지 않는다면, 1급수 수질개선은 환상”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