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역사 교과서, 위안부 왜곡ㆍ친일미화 등 논란
충북 교육ㆍ시민단체, 검정 절차 위법성 등 문제 지적


친일·독재 미화 논란이 일고 있는 한국학력평가원의 한국사 교과서에 관해 검정 절차와 집필진 구성에 위반사항을 문제로 해당 교과서의 검정을 취소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다.
충북역사교사모임, 충북교육연대 등 충북의 교육단체는 일제히 규탄 의사를 표했다.
이들은 한국학력평가원이 발행한 한국사 교과서에 반헌법·반민주적 내용과 오류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된 내용은 친일 인사의 친일 행위 이유를 생각해보는 지문 등 친일 독재 행위를 정당화 시키는 논리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분량 축소, 추상적 표현으로 설명 축소 △제주4.3 사건에 대해 반란군이란 표현 사용 등이다.
11일 전교조 충북지부와 충북역사교사모임은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검정 절차에서의 위법성 논란을 철저히 밝히고 문제가 된 해당 교과서의 검정을 취소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검정 자격 미달과 절차상 위법성을 문제로 제기했다.
이들 단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역사 도서를 발행한 이력이 없는 자격 미달의 출판사에게 검정 자격을 부여했으며, 내규에 어긋나는 검정 기관의 인사가 교과서 집필진에 참여했다”며 “검정 과정이 늘었음에도 검정 위원은 오히려 축소시켜 검정위원회에 외압이 가해진 것이란 의혹이 든다”고 주장했다.
충북역사교사모임 이상규 대표는 “탐구 활동 등 내용 구성에는 학습자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었으며, 친일 인사를 옹호하며 민주사회의 역사와 가치를 축소하고 은폐했다”며 “역사 교육의 교육적 본질과 가치를 무시당한 채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 참담하다”고 밝혔다.
이날 충북교육연대는 성명을 통해 “한국학력평가원의 한국사 교과서의 논란이 된 내용은 폭력과 전쟁, 민중을 착취하는 역사를 긍정하며, 헌법이 추구하는 민주주의 가치를 부정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교육부는 역사 왜곡, 오류투성이 교과서를 통과시킨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시민단체도 해당 문제에 대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노동부장관, 국가인권위원장 등 인사청문회에서 뉴라이트 역사관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며 “위안부, 강제징용, 사도광산 등 윤석열 정부의 외교행적에 친일정부라는 시민사회의 비판이 거센 가운데 교육부 마저 논란에 휩싸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부는 책임지고 역사교과서의 검정취소, 교육부장관의 사과와 관련자 징계,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