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과학실무사 사망, 2024년 당직전담사 사망 사고 등
"충북도교육청은 노사 협의를 통한 대책 마련하고 이행하라"

 

6월 26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는 충북도교육청 본관 앞에서 도교육청의 안전 관리 감독 책임과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청 현관에 사망한 당직 전담사를 추모하며 헌화했다. (사진=충북인뉴스DB)
6월 26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는 충북도교육청 본관 앞에서 도교육청의 안전 관리 감독 책임과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청 현관에 사망한 당직 전담사를 추모하며 헌화했다. (사진=충북인뉴스DB)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는 교육 현장에서의 중대재해 사망사건 방지를 위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2013년 발생한 과학실무사 사망사고 11주기를 앞둔 가운데, 이들은 충북도교육청이 노사 공동 논의를 통해 중대재해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지난 2013년 8월 17일 청주의 한 초등학교에서 13년차 과학실무사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고인은 충북도교육청이 과학실과 교무·행정업무를 모두 보는 업무통합 정책을 실시하면서 업무에 대한 부담감을 주변에 호소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지병이 악화되면서 학교 현장을 떠났다. 무급 병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퇴직 철회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를 비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달전인 올해 6월에는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당직전담사가 학교 철문에 깔려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는 성명을 내고 "두 사건의 공통점은 비정규직노동자에게 벌어진 일이며 사업주가 책임을 회피했다는 것"이라며 "책임을 느껴야 할 충북도교육청이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았거나 외면하고 있다는 사실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충북도교육청에 임시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 등 노사간 논의를 거쳐 중대재해 사망사고 재발방지대책을 세울 것을 요구했다.

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는 "한해 2000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산재사고로 사망한다. 학교 현장도 예외는 아니다"라며 "급식실에서 장기간 근무하다가 조리부산물에 집중 노출되어 폐암과 기타 호흡기계질환으로 병들고 죽어가는 일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충북도교육청은 ‘중대재해사망사건이라고 확정되지 않았다’거나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근로자가 아니라 간접고용된 용역근로자’라는 말로 책임을 회피해서는 중대재해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절대로 막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