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임시1청사. 사진=뉴시스.
청주시 임시1청사. 사진=뉴시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본보가 지난 8일 보도한 청주시청 공무원 억대 횡령사태를 비롯해 행안부로부터 기관경고를 받은 정보시스템 보안 관리 소홀, 문의문화재단지 공무원의 갑질 등 청주시 공직자의 공직기강 문제를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청주시는 최근 정보시스템 보안관리 소홀로 행정안전부로부터 기관경고를 받는가 하면, 소속 공무원이 억대 공금횡령 의혹으로 감사원 감사를 받고 있다"며 "얼마 전에는 문의문화재단지 직원들이 기간제 노동자에게 수년간 점심 사역을 시킨 사실이 알려져 시민 공분을 샀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보시스템 보안 관리 소홀은 행안부의 청주시 정보시스템 정부합동 감사에서 141건(비인가 접근 18건, 디도스 4건, 시스템권한 획득 61건, 악성코드 21건, 정보수집 5건, 정보유출 22건, 홈페이지 변조 10건)의 사이버 공격 시도 흔적을 확인했고, 시가 운영하는 정보시스템 273대 중 61대가 사이버 공격에 노출된 것이 드러났다. 공금 횡령 의혹은 감사원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회계처리 상황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정황을 발견했고, 문의문화재단지 기간제 노동자 갑질 의혹도 언론을 통해 사실이 알려졌다"고 꼬집었다.

참여연대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민감도는 점점 더 높아 가는데 청주시는 사이버공격에도 보안조치를 소홀히 했고, 수년간 공금을 빼돌린 정황을 포착하지도 못했다. 기간제 노동자 업무가 아님에도 점심 준비는 합의에 따른 것으로 문제가 없다는 시대에 뒤떨어진 인식도 바로잡지 못했다"고 일갈했다.

이어 "한 때 청주시는 비리백화점이라는 오명으로 시민들을 부끄럽게 만들었다. 지금의 양상이 그 당시를 연상시키고 있다"며 "청주시장은 연속된 비리, 공직기강 해이를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고, 총체적 개선 방안을 강구해 시민들에게 자세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