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포럼,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과 간담회 진행

충북교육포럼은 17일 오후 교원대에서 조국혁신당 강경숙 국회의원과 정책간담회를 진행했다.
충북교육포럼은 17일 오후 교원대에서 조국혁신당 강경숙 국회의원과 정책간담회를 진행했다.

 

충북의 교육·시민·학부모단체가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비례대표)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강경숙 의원은 원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22대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사)새로운학교충북네트워크,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등 7개 단체로 구성되어 있는 충북교육포럼은 17일 오후 교원대에서 강 의원과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정서행동위기학생 지원법안, 교원정원 축소 등 전국적인 교육 현안부터 IB교육, 국제·영재고, 다채움 등 충북 교육 현안에 대한 의견과 문제점을 논의했다.

특히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1호 법안으로 발의한 강 의원에게 참가자들은 위기 치유형 대안학교 설립과 지원을 촉구하며, “느린학습자 또는 정서적 위기 학생의 경우 적어도 초등 4학년, 늦어도 중학교 2학년 이전에 치유적 환경 속에서 최소 1년에서 최대 6년간의 교육기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오송에 국제학교 및 영재학교 설립과 관련, 귀족학교로 전락할 가능성과 지역 교육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강조했다.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힌다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학교자율과정이 파행 운영되고 있는 점과 충북교육청이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수능집중 교육과 평가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무엇보다 참가자들은 “충북교육청이 정책 수립 역량 부족으로 90년대 교육방식으로 회귀하고 있고 교육의 디지털화가 만병통치약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고 지적했다.

강경숙 의원은 “짧은 시간에 아이디어를 모으려고 애썼다는 것에 감동을 받았다”며 “조목조목 살펴서 제가 가지고 있는 권한을 최대한 활용해 문제제기를 하고 어떻게 하면 해결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