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제공)
(충북도 제공)

 

 

충북농업기술원은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벼 병충해 발생의 예방과 방제에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농기원에 따르면 장마철 높은 습도와 적은 일조량으로 인해 도열병, 깨씨무늬병, 잎집무늬마름병(문고병) 등 병 발생이 많아 이에 대비한 예찰과 예방적 방제가 필요하다.

특히 벼 잎도열병은 피와 바랭이 등 벼과 잡초에도 발생하므로 논둑 주변의 방제도 요구된다.

폭우로 인한 침수피해를 받았을 때는 잎끝만이라도 보일 수 있게 물을 빼야 하며,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오물을 제거해야 한다.

침수피해를 받은 논에서는 세균성 벼알마름병, 도열병 등 세균성 병 발생률이 높아 예방적 차원에서 살균제 살포로 피해를 최소화할 것을 당부했다.

충북농기원 관계자는 “8월 이후에는 나방류와 병의 발생이 잦으므로 피해가 없도록 예찰을 통해 조기에 방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