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과정 복잡하게 진행되면서, 어르신들에게 심려 끼쳐”
입찰 · 시행과정에서 문제점 노출, ‘사전설명 미흡’ 양해 구해
음성군이 오는 2024년까지 관내 등록 경로당 400개소를 대상으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경로당 정수기 렌탈사업’이 시행 3개월만에 혼선을 빚고 있다.
정수기 렌탈사업은 각 경로당 내 노후화된 정수기를 교체해 이용 어르신들에게 안전한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됐다.
그런데, 음성군의 당초 의도와는 달리, 이번 사업은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몇 가지 문제점을 노출시키며 그 성과가 퇴색되는 모습이다.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폭염이 도래되기 전 신속하게 추진했던 정수기 보급사업이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흐르자 음성군도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도대체 음성군 경로당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음성타임즈는 3회에 걸쳐 그동안 취재한 내용을 토대로, 이번 렌탈사업 추진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후속 대책을 보도한다./편집자주

음성타임즈는 지난 11일 <단독1/ 음성군 경로당 정수기 렌탈사업 ‘혼선’ … 무슨 일이 있었나?>, 지난 15일 <단독2/ 갈수록 꼬이는 음성군…경로당 정수기 렌탈사업, 혈세 ‘줄줄’>를 보도한 바있다. 이어 제기된 문제점이다.
세 번째, B업체의 효율관리기자재 신고확인서에 명시된 정수기의 냉수조는 1.81리터, 온수조는 1.84리터 등 총 3.65리터이다.
그러나, 기설치된 정수기 제품규격 표시사항에는 냉수조 1.81리터, 온수조 1.72리터로 표기되어 있다. 신고확인서와 실제 표시사항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음성군 관계자는 “이 부분은 한국에너지공단 신고확인서에 기재된 용량에 비해 실제 표시사항에는 낮게 표기됐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낙찰받은 B업체가 유지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지방계약법 위반소지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직접 유지관리를 하겠다는 확약서를 받은 상태이다. 정수기에 미표기된 부분에 대해서는 B업체에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요구했다”고 전했다.
지난 21일 현장확인 결과, 해당 정수기 제조업체는 C업체, 판매원은 D업체로 표기되어 있고, 유지관리업체는 B사로 새롭게 추가 표기됐다.
음성군 관계자는 “만일 과업지시서에 명시된 유지관리가 철저히 이행되지 않을 경우, 강력한 행정조치 등을 발동할 것“이라며 ”이번 정수기 사태를 계기로 입찰서류 등에 대한 사전 점검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혹서기를 앞둔 관내 경로당 어르신들의 건강을 챙기기 위해 서둘러 집행된 측면이 있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현재 노인분회를 중심으로 각읍면별 경로당 어르신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입찰시 업체측 제출자료, 철저한 사전심사 거칠 것”
네 번째, 입찰 진행과정에서 음성군은 적격심사를 거쳤다고 하나, 취재결과 허술한 행정의 난맥상은 곳곳에서 발견됐다.
계약해지된 1차 낙찰업체 A업체의 ‘문서변조’ 사실은 관내 400개소 경로당에 기설치된 이후 약 2달이 넘은 시점에, 제기된 ‘제3자 제보’에 의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낙찰업체 선정 당시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된 확인서의 진위여부를 사전에 재확인했다면, 이번과 같은 사단은 벌어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음성군 관계자는 “앞으로 입찰과정에서 업체측이 제출한 자료에 대한 철저한 사전 심사를 거쳐 나갈 것”이라며 “다만, 문서변조를 확인한 이상 계약을 유지할 수는 없다. 폭염에 앞서 보급을 신속히 완료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규격을 낮출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보조사업자인 대한노인회 음성군지회 관계자는 먼저 “입찰과정이 복잡하게 진행되면서 일부 어르신들에게 심려를 끼쳐 드린 것 같아 죄송스럽다"면서 “코로나19 여파로 (교체건에 대해) 어르신들에게 충분히 설명드릴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다”며 거듭 이해를 구했다.
그러면서 “현재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격적인 혹서기에 어르신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하지 않도록 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노인분회를 중심으로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꼼꼼히 살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음성군 경로당 정수기 렌탈사업’은 각 경로당 내 노후화된 정수기를 교체해 이용 어르신들에게 안전한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됐다.
그러나, 입찰 및 시행과정상의 몇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당초 취지가 퇴색되는 아쉬움을 털지 못한 채, ‘촘촘한 복지행정망 구축’이라는 화두를 숙제로 남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