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과감한 정책적 대응… 벤처임대공단 조성 ‘괄목’
소규모 용지 선호 기업 ‘눈 높이’에 맞춰 계획 변경

IMF이후 잔뜩 찌푸린 경제 기압골에 갇혀 한동안 움츠려 있던 오창과학산업단지가 최근 본격적인 활성화의 상승기류를 타고 있는 데에는 충북도의 발상전환과 과감하고도 탄력적인 정책 대응이 있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발상의 전환이 기폭제

사실 충북도는 오창과학산단 조성공사가 한창이던 3-4년전만 해도 특화된 기업유치 전략을 마련하지 못한채 무기력한 모습이었다. 당시 일진그룹과 (주)바이오니아가 오창산단 입주를 위해 노크했지만 결국 되돌아간 것은 기업들의 다양한 입맛을 맞추지 못한채 당초의 개발계획만을 고수, 탄력적인 공업용지 공급에 나서지 못한 충북도의 정책실패 때문이었다는 지적을 자초해야 했다.(본지 2000년 6월12일자 135호 5∼9면)
하지만 충북도는 이같은 실수를 거울삼아 교훈을 얻어내는 지혜를 발휘했다. 오창산단내 2만8000평을 충북도가 128억원을 들여 매입한 뒤 이를 벤처임대공단으로 지정, 기업들에게 500평 단위까지 임대해 주는 정책의 ‘개발’에 나선 것은 특기할만 하다. 더구나 도는 땅값의 1%에 불과한 파격적인 임대료로 기업유치에 발벗고 나서 27개의 벤처기업을 끌어들이는데 성공했다. 자금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평당 44만원이 넘는 땅을 매입할 여력이 없는 기업들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어준 것이다. 4억4000만원짜리 1000평을 임차한 기업의 경우 1년에 450만원의 임대료만 내면 된다는 계산이다.

타시도에서는 생각도 못해

타 시도에서는 생각하지 못한 획기적인 정책으로 오창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붓기에 나서는 충북도의 노력이 주목을 끄는 것은 이상하지 않다.
홍재형 의원의 노력이 크게 작용했지만 외국인 전용공단 조성사업 추진도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5만평 규모로 조성해 40개 기업을 유치할 계획인 외국인 전용공단 조성사업이 확정될 경우 충북도는 주머니돈을 풀지 않아도 된다. 땅을 매입, 임대에 나서는 주체가 산업자원부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큰 기업들을 유치하려는 욕심에서 1만평 이상 덩치큰 공장용지를 잔뜩 구획했다가 땅이 팔리지 않자 충북도가 당초의 개발계획을 변경, 용지를 소규모로 분할해 분양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도 괄목할 만 하다. 현재 미분양 상태인 7필지는 모두가 1만∼2만평이 넘는 땅들로 1000평 2000평 단위를 선호하는 기업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서이다.

“기업의 눈높이에 맞춰라”

분양촉진으로 오창산단을 활성화해야 할 절박한 현실적 필요가 충북도로 하여금 정책의 ‘개발’에 나서도록 채근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IT(정보통신)분야의 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과는 달리 부진한 분양률을 당장 높이려는 조바심에서 조만간 착공에 들어갈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와의 차별성 경계를 허물어 버린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업종 구분없이 바이오계열 기업까지 오창과학산업단지에 마구 끌어들임으로써 오송산업단지에 그만큼 부담을 안긴 꼴이 됐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