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헌법소원 감정적 보도, 노사문제 본질 외면

행정수도 헌법소원 분노 표출

신행정수도 특별법에 이어 행정중심도시 특별법마저 헌법소원이 제기되었다. 각 신문들은 행정도시 헌법소원에 대한 기사로 연일 지면을 장식했다. 그러나 대체적인 내용을 보면 다소감정적인 보도태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신행정수도에 이어 다시 한번 충청권이 ‘우롱’을 당한 셈이라는 식이다.

6월15일- < 행정도시 헌소 반발 확산> (중부), <대전은 ‘요동’ 충북은 ‘잠잠’ > (충북), <대전충남 반발 확산>,  <‘국가미래 발목’ 수도권에 경고>(충청투데이)

6월16일 - <“ 충청권 또 우롱” 분노 확산>, 중부시론 <행복도시 특별법 헌법소원 논리를 비판한다> (중부), <행정도시법 헌소반발 확산>(충북), <행정복합도시 건설 ‘흔들’>(한빛), <“또 발목 … 못 참겠다” 분노>, 사설< 수도권 아집 헌소, 성공할 수 없다>(충청투데이) 등

6월17일 - 사설 <대한민국은 수도권 주민만 사나>(중부), 사설 <충청도민 참는데도 한계가 있다>(충북) , <‘행도 헌소’ 반발 확산> 6월18일 - <충청권 ‘헌법소원’ 반응 대조>(충청투데이)

이와 같이 대부분의 기사는 분노 표출로 이어졌다. 이 가운데 충청투데이는 6월16일치 신문에서 행정도시 헌법소원 4대쟁점과 정부의 위헌 가능성 일축에 대한 보도와 함께 <재판관 9인 성향 분석>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는 재판관 9명중 3명이 친여적이고, 열린우리당 임명 추전을 받은 재판관은 위헌 동의 가능성이 없다고 내다봤으며, 대전이 고향인 송인준 재판관이 어떤 결정을 할지 관심사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송인준 재판관이 충청지역 출신인데 반대의견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듯 했다.

신행정수도 이전 때와 마찬가지로 행정도시 특별법 역시 충청권에서는 주요의제였다. 행정도시 특별법마저 헌법소원이 제기된 상황에서 이에 대해 분노의 여론이 팽배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언론에서 지나치게 감정적 보도로만 일관했던 것은 아닌지, 대전 충남은 분노가 들끓는데 충북은 잠잠하다는 식의 보도가 지역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점 등에 서 신중한 보도태도였는지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노사문제 본질 보도 안하는 언론

한국노총 충주지부 김태환 의장이 집회과정에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의 배경이 되었던 특수고용직 문제와 사망의 원인, 문제점, 의혹 등을 철저하게 밝히는 데에는 소홀했다. 김태환 의장 사망을 두고  < 충북, 올 노동투쟁 ‘핵’ 부상>(중부6.17), < 충주지부장 사망… 노동계 ‘전운’>(충청투데이 6.16) 등에서 한국노총이 총력투쟁을 선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부매일만이 <특수고용직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기획기사를 보도했을 뿐이었다.

대부분은  < 대규모 집회로 치안활동 ‘비상’ >(한빛, 6.17), <충북대규모 집회 ‘초비상’ >(충청투데이 6.17), < 성난 한노총… 충주 긴장 팽팽>(충청투데이 6.19), <잇단시위 충주민심 동요>(중부 6.20), <잇단 집회… ‘치안공백’ 부작용 속출> 등으로 연일 열리는 집회와 시위 때문에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다는 보도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한빛일보 <잇단 집회...> 기사에서는 집회 및 시위 탓에 치안 공백이 생겨 3일 동안 소매치기 및 날치기 사건이 세 차례 발생했다고 지적하는 내용이었다. 기자는 집회 탓에 경찰력에 공백이 생겼다고 판단했는데, 과연 세건의 치안사건이 ‘치안공백’이라 칭할만큼의 사건이었는지, 집회에 소요되는 경찰력과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력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을 갖게 ! 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