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공장 두레’ 심의 결과 부당성 제기,
심의내용 공개 주장

충북도는 지난 27일 '충북문화예술진흥위원회'를 열어 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 및 지원금을 최종 확정했다. 이는 14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1차 심사위원회를 열어 문학·미술·연극 등 9개 분과별로 총 332건의 신청사업을 심의한후 최종적으로 229건에 대해 모두 4억5천500만원을 지원키로 한 것.

지원 대상사업은 문학 56건 6천200만원, 미술 40건 8천40만원, 사진 21건에 4천130만원, 건축 4건에 760만원, 국악 및 전통예술 40건에 8천810만원, 음악 18건에 3천540만원, 무용 3건에 1천390만원, 연극 8건에 3천80만원, 영화 3건에 760만원, 연예 3건에 700만원, 종합예술 26건에 5천240만원, 국제교류 7건에 2천850만원 등이다.

그러나 지난해 2차례 도문예진흥기금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고, 또한 타시도가 ‘문예진흥위원회구조’ 체제개편이 시대적인 흐름인 가운데 이번 충북도의 문예진흥기금 배분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먼저 예년과 달라진점은 올해는 심사위원 위촉을 예술단체관계자들이 배제된 현직 대학교수들로 꾸며졌다는 것이다. 문예진흥위원들은 분야별로 총 40명이었다.

도 담당자는 “그동안 세미나를 통해 얻은 결론은 예총, 민예총 두 예술단체에서 소외된 소규모 예술단체지원과, 예산분배의 공정성확보였다. 두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전문가집단인 교수들을 위촉했고, 가급적이면 새인물보다 심의에 경험있는 사람들로 뽑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예술공장 두레의 민족춤패 너울과 놀이패 열림터는 심사의원들의 심사과정에 대한 공정성을 문제제기하고 나섰다. 이들은 각기 민족춤패 너울은 ‘바다로 가는 여울목’을 놀이패 열림터는 ‘마당극 정지용’을 신청했으나 모두 순위밖으로 밀려났다. 예술공장 두레는 “단순한 심의탈락을 문제삼은 보복성 행동이 아니다. 공정한 기준이 선행되지 않으면 우리와 같은 선의의 피해자가 또다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총대를 멘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예술공장 두레는 지난 2월 1일 도에 질의서를 보냈고, 곧 정보공개요구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주요내용은 심사의원 위촉과정, 심사기준표, 지원단체 서류내용등에 대한 ‘공개’다. 김창곤 예술공장두레 기획팀장은 “심사의 1차기준이 서류이다. 그런데 지원단체가 제목도, 출연진도 미정인 작품엔 예술성 점수 만점을 주고 어느단체 하위점수를 주었다. 타시도의 경우 문예진흥법의 의거해 서류가 미비할 경우는 지원자격에서조차 탈락된다. 충북도는 심사위원 재량만 있고, 심사의 공정성은 빠져있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대학교수들 또한 ‘객관적’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지역의 예술단체들과 연결고리를 갖고 있고, 또한 현장경험이 없는 이상 평가에 ‘무리수’가 있다는 것.

지역의 문화예술 종사자들은 “매년 공정성 시비가 붙었지만, 지금까지 나서는 단체가 없었다. 지원금액도 작고, 굳이 행정기관과 ‘불편한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었다”며 “이번 사건을 통해 단 한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심사위원과 점수표가 얼굴을 드러낼지 관심이 쏠린다”는 여론이다. 이에 1차 서류심사만으로 예술작품을 평가한다는 ‘무리수’를 들며 사후평가제도가 지금부터라도 시행돼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그러나 98년 지원금 배분이후 해마다 제기됐던 ‘해묵은 과제’들이 해결되기란 만만치 않는 것 또한 현실이다.

도 관계자는 “다액소건으로 지원계획을 세웠더니 평균 경쟁률이 2대 1이었다. 그래서 다시 회의를 통해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소액다건’을 채택했지만, 그래도 100여건은 신청에서 떨어진다. ‘사후감리제도’도 지금으로서는 인력이 부족한 상태”라고 답변했다.

한편 올해 전문예술법인 단체 심의 결과, 극단시민극장, 자계예술촌 (사)해동연서회, 무심갤러리 등 4개 단체가 선정됐다. 지난해 도내 제1호 전문예술법인이었던 예술공장 두레의 심의과정 공개신청이 앞으로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