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3차 사업과 함께 보존방안 병행 방침

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 TP) 저지 주민비상대책위원회와 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문화유산정책유산연구소가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테크노폴리스 3차부지 확장사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충북인뉴스 박명원 기자] 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 TP) 저지 주민비상대책위원회와 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문화유산정책유산연구소가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테크노폴리스 3차부지 확장사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날 청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차 부지의 경우 2007년 토지 공람 후 6년이 지난 2013년 보상금을 받았다. 하지만 평당 30만원 수준의 공시지가와 공시지가의 1.3% 수준인 이자가 더해졌을 뿐이라"며 "2차부지 또한 헐값에 토지수용을 당해 원주민들은 쫓겨날 걱정에 절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들은 최근 청주 TP부지에서 발견된 문화재를 두고도 "청주 송절동 유적은 청주의 역사적 뿌리이자 국가적으로 보호해야 할 가치 있는 문화유산이다"라며 "청주시와 사업시행사가 개발논리만 앞세워 고대사의 심장부를 파헤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전국적으로 초기 백제 시대의 유물이 집단적으로 나온 곳은 이곳이 유일하다. 청주시장과 청주시문화재팀은 문화재 발굴 현장을 왜 비공개했는지 이유를 밝혀야 한다"며 "청주시가 대주주이자 개인 사기업인 신영의 이익을 위해 주민의 이익과 문화재의 가치마저 묵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비상대책위의 이같은 요구에 대해 청주시는 청주테크노폴리스 3차 사업과 함께 문화재 보존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사업시행자인 ㈜청주테크노폴리스와 함께 문화재청과 협의해 1차 사업 출토 유물을 청주국립박물관에 이전하고 유구는 사업부지내 전시관(719㎡)과 역사공원(1만2479㎡)을 조성해 보존하겠다는 것. 아울러 현재 발굴조사하는 2차 사업 구역에서 나오는 유물과 유구도 문화재청과 보존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화재 출토가 유력한 3차 사업 구릉과 산지 지역 28만3610㎡는 사업시행자가 매입한 뒤 원형으로 시에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이곳에서 나오는 유물과 유구도 보존 방안을 찾기로 했다.

또한 비상대책위의 현장 비공개와 외부 차단 주장에 대해 “사업시행자 측에 확인한 결과, 발굴현장의 특성상 모든 시민에게 무분별하게 현장을 공개할 수 없는 입장이다. 하지만 답사를 원하거나 문화재와 관련된 전문기관 등의 사전요청에 따라 이미 20여 차례 이상 현장을 공개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