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옛 청주시·청원군 행정구역 통합에 따라 양쪽 살림을 합치면서 떠안은 천억 원대 빚을 절반 정도 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시에 따르면 2014년 7월 행정구역 통합 당신 통합 청주시의 지방채 규모는 총 1천776억 원, 예산대비 채무비율은 9.1%에 달했다.
이 중 70~80%는 옛 청주시가 진 빚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해 통합시에 채무를 그대로 가지고 왔다.
통합시 출범 후 신규 사업 억제와 채무구조 개선 등 허리띠를 졸라매 4년 만에 조기상환 485억 원, 정기상환 390억 원으로 총부채 절반에 달하는 875억 원을 갚았다.
채무 잔액은 지난 1월 1천7억 원에서 이달 현재 901억 원으로 가까스로 천억 원대 밑으로 떨어졌다.
저금리채권 차환으로 이자비용도 줄였다. 연 3.5~4.07%의 이자를 내던 546억 원짜리 지방채를 최소 1.75% 저금리 채권으로 갚으면서 이자비용 40억2천만 원도 절감했다.
시가 단기간 내 지방채를 절반가량 해결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세출구조조정을 통한 가용 재원을 최대한 확보했기 때문이다.
일반·특별회계에서 남는 재원이 있을 때마나 채권을 상환하고, 고금리 이자가 붙는 채권을 저금리 차환하는 방식으로 한푼 두푼 갚아나갔다.
시는 연말까지 지방채를 864억 원까지 줄여 예산대비 채무비율을 2%대로 떨어뜨릴 계획이다.
올해까지 최대한 빚을 갚아야 내년 대규모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지방채 발행이 수월해 진다.
지방채를 발행하지 않으면 사회복지 등 필수예산을 건드릴 수밖에 없어 빚을 지더라도 발행이 불가피하다.
시는 내년 행복주택 건립에 필요한 58억 원과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을 위해 5억 원의 지방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시청사 건립을 위한 지방채 발행도 필요하나 착공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어 이 부분은 진행상황을 지켜보다 발행 시기를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지방채 규모가 줄수록 재정건전성은 높아지지만, 대규모 투자 사업을 위해선 지방채 발행이 필요하다"며 "가용재원을 확보할 때마다 조기상환하는 방식으로 손실을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