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종 지사가 송재봉 도민소통특별보좌관 내정 논란에 대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심경을 밝혔다. 이 지사는 지난 16일 밤 SNS글을 통해 "소통특보 민관협치(거버넌스)의 상징"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송 센터장을 내정한 배경에 대해 "오송역, 첨복단지, 청주공항 민영화 반대, 세종역 반대 등 각종 충북현안들에 대해, 논리를 만들고 도민의견을 모으고 중앙정치권에 건의(때로는투쟁) 하는 역할을 해 온 민간 실무진의 한 분이 송재봉씨라는 데, 많은 분들이 대체로 공감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선거를 6개월 앞둔 시점이냐는 지적에 대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하는 것이 도민과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 생각했다"며 "왜 임기를 내년 6월까지냐 문제인데 임기를 그 이상하는 것은 민선7기 도지사(누가 되든)에 대한 예의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이 지사의 SNS 글 전문이다.
소통특보는 민관협치(거버넌스)의 상징입니다.
최근 송재봉씨를 소통특보에 내정했다고 논란이 많습니다.
그런데 현대행정은 민관협치(거버넌스) 시대 속에 이미 와 있습니다. 그리고 민관협치는 그동안 사회, 시민단체 등 각계로부터 계속 제기돼 왔고 저도 약속했습니다.
특히 우리 충북은 예산편성등 도정정책수립, 감시분야 뿐 아니라, 최근 LCC 항공사설립 등 충북 현안들에 대해 민관협치 ,즉 도민과 소통(의견수렴)하고 중앙정치권과 소통(때로는 싸워야)해야 하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통을 제도적으로 도입한 것이 바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처럼 소통특보 자리라 하겠습니다.
그러면 왜 송재봉씨냐 문제인데, 그동안 오송역, 첨복단지, 청주공항 민영화 반대, 세종역 반대 등 각종 충북현안들에 대해, 논리를 만들고 도민의견을 모으고 중앙정치권에 건의(때로는투쟁) 하는 역할을 해 온 민간 실무진의 한 분이 송재봉씨라는 데, 많은 분들이 대체로 공감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있을 각종 충북현안 해결에 그 분이 할 역할이 많이 있다고 봅니다.
그러면 왜 선거를 앞 두고 지금하느냐 문제인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하는 것이 도민과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또 왜 임기를 내년 6월까지냐 문제인데 임기를 그 이상하는 것은 민선7기 도지사(누가 되든)에 대한 예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제가 오직 정치적 이해득실로만 따진다면 득보다 실이 클지도 모를 소통특보 제도를 재고할 수도 있겠지만, 이 보다는 민관협치 시대에 도민과의 약속을 지키고, 각종 충북현안들을 민관협치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저의 순수한 결단에서 비롯된 것임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 목적도 있다고 오히려 그렇게 말쌈하는게 순수하지 않을까요? 이제는 이지사의속을 모르는 도민이 없습니다. 개인의 목적달성(3선)을 위해선 어떠한 수단이라도 모두 동원한다는 것을 공무원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지요. 시민단체의 순수성을 말살한 것은 무엇보다 큰 과오를 저지른 겁니다. 지역현안 문제에 앞장선 사람이라면 이두영씨겠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