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옥천·보은·단양·영동·괴산 등 5개 군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에 따르면 도내 11개 시군 가운데 인구변화가 안정적인 지역은 청주시와 증평군 2곳 뿐이다.
진천군·음성군은 인구감소 검토지역, 충주시와 제천시는 인구감소 신중 검토지역으로 분류됐다. 나머지 옥천·보은·단양·영동·괴산군 5 개군은 인구감소 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도내 지자체의 절반 가량이 인구감소로 인한 소멸 우려가 큰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것으로 이는 전국 비수도권의 `위험 지역' 비중 31.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연구원 분석결과를 보면 수도권에서는 안정·검토 지역이, 비수도권에서는 위험·신중검토 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주민등록상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청주와 증평을 제외하면 나머지 9개 시군은 인구감소를 대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충남에서는 공주시, 부여군, 예산군, 서천군 4곳이 인구감소 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아산·천안·계룡·당진·서산시 5곳은 인구감소 안정지역, 논산·청양·보령·금산군 4곳은 인구감소 신중검토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번 조사는 인구 이동과 출생·사망을 고려한 장래 인구를 추정해 `지방소멸' 개념을 적용했다. 지방소멸은 저출산·고령화로 지역사회가 유지되기 어려운 현상을 이른다.
통계청은 2018년 4934만명을 고점으로 국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 2030년 4863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판단했다.
권혁상 기자
jakal40@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