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대 비대위 체제, 충북대 보궐선거 예정, 청주대 법적 소송
총학생회 없이 운영되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는 지난해 총학생회 선거에 등록한 후보자가 없어 현재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움직이고 있다.
충북대학교 역시 개교 66주년 만에 처음으로 총학생회 없이 비상대책위원회로 가동하게 됐다.
충북대는 지난해 11월 당선된 49대 총학생회 `The ARROW'가 대학회계 남용 의혹이 불거져 출범 한 달 만에 좌초되면서 오는 6일 보궐 선거를 치를 예정이었다.
하지만 보궐선거 입후보 등록을 지난달 30일 마감한 결과 한 팀이 등록했지만 마감시간인 오후 6시 이후 접수돼 선거 관리 규정에 따라 무효처리됐다. 충북대는 보궐선거조차 치르지 못하면서 올 한해 총학생회 부재 상태로 비상대책위원회로 운영된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사퇴한 총학생회장, 부총학생회장, 사무국장 3명을 제외한 단과대학 학생회장과 중앙학생자치기구 회장 15명으로 구성된 중앙운영위원회에서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선출해 총학생회 역할을 맡게 된다.
충북대 관계자는 “보궐선거에 한 팀이 등록했지만 마감 시간 이후 접수해 무효처리했다”며 “중간고사를 앞두고 투표를 꺼리는 학생이 많아 보궐선거에 들어가도 투표율 50%를 충족하기도 어렵다. 개교 이래 처음으로 비상대책위원회로 운영하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충북대 49대 총학생회 `The ARROW'는 출범 한 달 만에 자리에서 내려왔다. 충북대 대의원 총회 중앙위원회는 지난달 정기총회를 열고 대학회계 남용 의혹을 이유로 49대 총학생회장과 부회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의결했다.
총학생회는 지난 2월 충북대에서 열린 전국 국공립대학생연합 행사 뒤풀이 장소에서 대학회계로 주류 값 등을 지불했다. 대학회계 법인카드는 유흥 음식점 등에서 주류 결제가 불가능하다.
논란은 대학회계로 술자리를 마련했다는 제보가 충북대 SNS에 게시되면서다. 이와 함께 부총학생회장이 충북대 SNS에 총학생회장의 대학회계 남용을 폭로하면서 논란이 확산했고 총학생회장은 사비로 문제 된 돈을 모두 반환했지만 결국 불신임당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