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시내버스정책이 번번이 시내버스업체의 반대에 부딪혀 좌초하거나 지연되고 있다. 이번엔 시내버스노선 개편 시행시기가 또다시 연기됐다. 시와 시내버스업체 간 노선과 운행방법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시에 따르면 여름방학 이후에 노선개편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버스업체 간 책임노선제와 급행버스 도입 등 운행방법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최종 확정이 늦어지고 있다.

지난 2006년 전면 개편한 버스노선이 통합청주시 출범 및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맞는 시내버스노선 개편과 버스 증차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시는 애초 올해 초까지 개편안을 마련한 뒤 오는 4월 노선개편안을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업체 간 이견으로 시행시기를 상반기 중으로 연기했다. 하지만 업체와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며 또다시 시행시기를 여름방학 이후로 미뤘다.

배당된 노선만 운행하는 고정노선제를 원하는 업체와 노선을 돌아가면서 맡자는 공동 배차제 요구 업체가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중요지점에 한 번씩 서는 급행버스 도입 여부에 대한 업체 입장도 좁혀지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의 개편안은 상당로와 사직로에 지나치게 집중된 버스 운행횟수를 감축하는 대신 시내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오창, 내수지역 노선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충북대와 청주산업단지를 통과하는 노선도 새로 만들기로 했다.

조만간 확정하게 될 최종개편안에는 시내버스 대수를 359대에서 389대로 30대 늘리고, 노선 수도 초안 56개 노선에서 14개 노선이 증가한 70개 노선으로 확장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운수업체가 우려하는 부분에 대한 해소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빠른 시일 내에 노선개편시기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월엔 청주시 시내버스준공영제 도입논의가 일부 업체의 반대로 사실상 무산됐다.

시는 지난 1월 23일 시내버스 6개 업체 대표, 시의원, 교통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한 준공영제추진협의회 7차 회의를 열고 준공영제 추진을 `잠정보류'하기로 결정했다.

이유는 지난해 12월 회의 때 관내 버스 6개 업체의 모든 협상 권한을 버스업계 대표 한 명에게 모두 위임하기로 의결했으나, 돌연 3개 업체에서 회의 결과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서류를 협의회에 제출하면서 합의도출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시와 버스업계가 표준운송원가 산정을 놓고 입장 차가 큰 데다가 업체 간 의견도 달라 재추진 여부마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인접 시·군과의 환승 요금 공동부담협상도 현재까지 보은군만 성사됐을 뿐 대전, 세종, 증평, 진천 등과의 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