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의 재개발, 재건축 정비구역 2곳이 또다시 해제될 전망이다. 주민들 스스로 사업을 포기했다.

장기간 사업이 추진되지 않으면서 개발 행위가 제한됐고 도로, 상수도 등 기반시설 정비 지원도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22일 청주시에 따르면 도시계획심의위원회는 오는 28일 서원구 사직2동과 수곡2동 정비구역의 해제 여부를 심의한다.

사실상 해제를 위한 마지막 절차다. 위원회가 정비구역 해제를 결정하면 시는 다음 달 7일 확정 공표할 예정이다.

이들 지역은 조합과 추진위 승인이 각각 취소된 상태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의 규정에 따라 조합원 과반이 해산에 동의했다.

사직2구역 주택 재개발 사업 조합은 지난해 5월 말 승인이 취소됐다. 2007년 3월 구성된 조합 설립 추진위원회는 2010년 12월 조합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이후 조합은 5만9860㎡에 981가구를 수용할 수 있는 아파트 등을 건립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사업이 정상 추진되지 못했다. 결국 조합은 사업을 포기하게 된 것이다.

수곡2구역은 조합 설립을 앞두고 정비구역에서 해제된다. 시는 지난해 6월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 조합설립 추진위원회 승인을 취소했다.

정비구역 내 토지 등 소유자 과반이 넘는 720명이 추진위 해산 동의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 지역 주민들은 2007년 10월 수곡동 일대 22만9000㎡를 개발하기 위해 1240명이 참여하는 조합설립 추진위를 구성했다.

주민들이 재개발·건축을 포기한 이유는 도시정비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오랜 기간 사업이 정상 추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개발 행위에 제약을 받고 기반시설 정비도 지원되지 않는 등 지역 발전에 악영향을 준다는 판단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개발 사업이 추진되지 않으면서 주민들이 더는 피해를 보아선 안 된다는 의견이 모인 것"이라며 "지정이 해제되면 기반시설 정비 등의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청주 지역의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구역은 현재 17곳이다. 주거환경 개선 2곳, 주택 재개발 10곳, 주택 재건축 4곳, 도시환경 정비 1곳이다. 사직2·수곡2구역이 해제되면 15곳이 된다.

 '도시·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이 수립된 2006년 12월 당시 38곳과 비교하면 대폭 줄어든 셈이다.

계획이 수정되면서 12곳이 퇴출당했고 최근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낮은 사업성 등을 이유로 구역 해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