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시의회(의장 김정문)는 13일 지역 최대 현안인 왕암동폐기물매립장 안정화사업에 국가가 책임지고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시의회는 이날 개회한 251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제천왕암산업폐기물매립장 시설 안정화 촉구 건의서'를 채택하고 국회의장과 환경노동위원장·안전행정위원장, 기획재정부·행정자치부·환경부 장관에게 이같이 건의했다.
시의회는 건의서에서 "2010년 폭우와 2012년 폭설에 산업폐기물처리장 에어돔이 붕괴했다"며 "처리 비용을 예상할 수 없는 막대한 양의 산업폐기물이 매립된 채 수년간 방치돼 침출수로 인근 마을 식수와 농업용수는 물론 수도권 식수원까지 오염되는 상황"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23만7531t의 산업폐기물이 매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매립시설에서 최대 남서쪽으로 55m까지 지하수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침출수 처리와 오염 확산 방지에 55억원, 복토에 15억원 등 매립장 복구 비용에 70억원 이상의 사업비를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시의회는 "그동안 공매를 진행했지만 복구 비용 문제로 일반인은 응찰하지 못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인수해야 해결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제천시는 열악한 지방재정 상태로 매립장 시설 인수를 감당하기 어려워 국가가 나서서 자연 대재앙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왕암동 폐기물매립장은 2006년 1월 2만7676㎡의 터에 E사가 25만9458㎥ 규모로 조성해 90% 이상 폐기물을 매립한 뒤 2010년 영업 중단에 이어 2012년 12월 폭설로 에어돔이 내려앉은 상태에서 4년이 넘도록 방치되고 있다.
왕암동 폐기물매립장은 한국환경공단 등 5개 기관의 안전진단 결과 2014년 7월 재난위험시설 E등급으로 지정됐다.
시설물 안전등급 평가 기준에 따르면 E등급은 사용 금지와 개축이 필요하다.
시는 지난해 왕암동폐기물매립장을 10회에 걸쳐 공매를 추진했으나 모두 유찰되자 취소했고, 국민권익위원회는 매립장 인근 주민 500여 명이 제출한 환경오염 방지 촉구 민원과 관련해 지난달 8일 현장 조사를 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