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과 시의원까지 찬반갈려 접점찾기 난망

청주 제2광역쓰레기매립장의 조성방식변경을 둘러싼 주민간 갈등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불필요한 갈등만 야기한 채 시-시의회-시민간 생채기만 남긴 새 상징물(CI)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청주 제2매립장 노지형 반대대책위원회는 7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붕형'이라더니 `노지형' 매립장이 웬 말이냐”며 “노지형 매립장 조성계획이 백지화될 때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반대위는 매립장 신청지역인 청주시 청원구 오송읍 후기1·2리를 제외한 간접영향권(매립장 조성지 반경 2㎞이내)의 가좌1·2·3리, 두릉리, 천안시 동면 구도리, 송연1·2리, 수남리 등 8개 마을 주민들로 구성됐다.

반대위는 “시는 공모 당시 최첨단·친환경 시설인 지붕형 매립장을 건립해 침출수와 악취를 최소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시와 후기리 일부 주민들이 지난해말부터 인근지역(간접영향권) 주민들도 모르는 상태서 노지형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주민을 현혹해 매립장을 공모한 다음 청주시 마음대로 노지형 매립장으로 바꾸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시의 행정사기극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반대위는 또 “시는 후기리가 산악 지역이어서 지붕형을 조성하면 옹벽을 설치해서 매립이 끝난 뒤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며 “이는 선정 과정부터 잘못된 계획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후기1·2리 주민들로 구성된 제2 매립장추진위원회는 조성방식 변경에 찬성하고 있다. 지붕형으로 건립되면 40여m의 석축을 쌓아야 하는데 마을미관을 심각하게 해치게 된다는 게 주된 이유다.

결국 시의 매립장 조성방식변경 추진이 후기1·2리와 그 외 8개 마을 주민간 갈등으로 비화하는 모양새다. 이곳을 지역구로 하는 청주시의회 박정희 의원(새누리당)과 신언식 의원(더불어민주당)도 노지형 찬반으로 나뉜 상태다.

자칫 2년전 시의 새 CI를 놓고 여야로 갈려 반목했던 갈등 상황이 재현될 소지가 다분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시 새 CI를 만든게 문제가 아니라 제대로된 절차와 시민 의견수렴과정이 부족했다는 게 갈등의 주요원인이었다. 특히 시와 시의회, 일부 의원 간 이견이 다수당인 새누리당과 소수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간 집단갈등양상으로 증폭돼 1년 내내 갈등이 지속됐다. 모든 갈등상황이 해소된 후 시와 시의회안팎에선 불필요한 소모적인 논쟁이자 갈등이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시청 사정에 밝은 한 인사는 “주민갈등이 표출되기 시작한 현재 시점에서 갈등을 봉합하지 않고 방치했다가는 제2의 CI사태가 우려된다”며 “시에서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어정쩡한 자세를 취한다면 갈등상황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