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축산위원회가
충북도 AI 방역현장을 찾았습니다.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방역당국의 뒤늦은 대처로
피해가 커졌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택수 기잡니다.
<소제목> 국회 농축산위, 충북 AI 상황실 현장 점검
격려 차원이라는 예상과 달리
충북도 AI 상황실을 찾은 국회 농축산위원회는
시작부터 날카로운 질문을 쏟아 냈습니다.
방역 현장의 실무 담당관인 방역관을
도내 지자체가
법정 인원에 맞게 보유하고 있는 지,
소독제는 어떤 특성의 약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 지 등
미처 준비하지 못한 질문에
답변에 나선 공무원들은 진땀을 뺐습니다.
<인터뷰> 김현권 국회의원(더민주)
"법정 인원 대비 방역관이 몇 명이나 있습니까?"
<인터뷰> 곽학구, 충북도 축산과장
"별도 파악을 못했다."
AI 발생 한달이 되서야 위기 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격상한 것에 대해선
정부 당국에 대한 강한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권석창 국회의원(새누리)
"심각 단계 지정이 너무 늦었다"
<인터뷰> 정인화 국회의원(국민의당)
"절차와 형식 타령하다 대응 늦어"
이시종 지사는 AI 예방을 위한
겨울철 가금류 휴업제 도입과 함께
2011년 폐지된 도축세 대신
가축 방역세 신설로,
지자체 대응 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건의했습니다.
<인터뷰> 이시종 충북도지사
"가축 평가액의 1% 정도는 걷었으면 한다."
AI 발생 한달 만에 도내 가금류 농가의 25%가
살처분으로 초토화 된 가운데
이번 기회로 보다 기민한 방역 시스템 구축과
법 제도 개선이 이뤄질 지 지켜볼 일입니다.
HCN뉴스 김택숩니다.
HCN
hcn2@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