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청주동물원 이전 사업을 두 단계 나눠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가 특화사업이 아니란 이유로 국비지원에 난색을 보이기 때문이다.
시는 자체 예산을 들여 기반시설 등을 조성한 뒤 민간자본을 유치해 나머지 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청주시는 18일 밑그림이 그려진 청주동물원 이전 사업 계획 중 재원 확보 방안을 수정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비를 지원받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를 했으나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해서다.
문체부는 동물원 이전이 보편적인 수익 사업이어서 예산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사업이 아니란 것이다.
난관에 봉착한 시는 결국 민간자본 유치로 눈을 돌리게 됐다. 애초 시는 국비 482억원, 시비, 495억원, 민자 508억원 등 1485억원을 마련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국비 지원이 어렵게 되자 시비를 511억원으로 늘렸다. 나머지 974억원은 민간 사업자의 투자를 끌어내기로 했다.
시는 내년 1월 청주동물원 이전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행정자치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행자부가 이를 수용하면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다.
사업비가 300억원이 넘는 일반투자 사업은 타당성 조사를 한 뒤 지방재정 투융자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행자부가 타당성 조사를 승인하면 바로 연구용역에 들어갈 것"이라며 "내년 하반기 초 결과가 나오면 이전을 위한 행정절차에 밟게 된다"고 말했다.
현재 청주동물원 이전을 위한 밑그림은 그려진 상태다. 시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청주동물원 이전 타당성 및 발전계획'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이를 토대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청주동물원 이전 부지는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로 정해졌다.
이곳은 상당구 미원면 미동산 수목원 등 다른 후보지 3곳보다 지리적 여건, 접근성, 친환경성, 법·제도적 적절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지 규모는 29만4000㎡다. 1997년 문을 연 청주동물원 12만6900㎡보다 두 배 이상 크다.
이 중 시유지는 88.5%로 자연녹지에서 도시계획 시설로 용도 변경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머지 사유지는 사업이 확정되면 매입 후 변경하기로 했다.
사육하는 동물도 180종 800마리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기존 동물원에서 사육 중인 포유류·조류·파충류 등은 92종 500마리다.
새로 이전하는 청주동물원은 자연 생태환경으로 조성된다. 사파리와 열대 식물관, 전시관 등을 추가로 꾸미고 놀이시설도 만들 계획이다.
청주동물원 이전은 옛 청주시와 청원군이 합의한 '상생발전 방안'에 포함돼 있다. '동물원을 청원군 지역으로 옮긴다'고 명시돼 있다.
'2030 청주 도시기본계획'에도 동물원을 이전해 체험형 교육여가 단지로 조성한다고 돼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