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전교조 반대 성명 "친일·독재 미화, 건국절 제정" 지적
충북지역 보수-진보 교육단체가 한 목소리로 국정 역사교과서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29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충북지부는 '국정 역사교과서 수용 불가'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이들은 "교육부가 중·고교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을 공개하면서 '사실에 입각한 균형 잡힌 역사교과서'라고 밝히고 있으나,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수립일로 명기한 점 등은 인정할 수 없다"며 "교총이 제시한 3대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교총이 제시한 3대 조건은 ▲ 집필 기준과 내용·방법 등에 있어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균형 잡힌 교과서 ▲ 이념적으로 편향되지 않은, 다양한 교과서 집필진 구성 ▲ 친일·독재 미화, 건국절 제정 등 교육 현장의 여론과 배치되지 않도록 할 것 등이다.
이와함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도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전교조는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는 박정희 치적을 강조하는 '박근혜 교과서'이면서 대한민국의 임시정부 역사와 항일 독립운동사를 축소한 '친일·독재 미화·헌법 위반 교과서"라고 규정하면서 당장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국정화 고시 강행 결정을 하기 1년1개월 전에 이미 청와대는 국정화 강행을 결론지어 놓고도 국민에게는 '정해진 게 없다'고 속였고 국정화 비밀작전을 은밀히 수행했다"면서 "그후로 의견 수렴은 거짓과 기만으로 점철됐고, 조작된 의견서까지 동원하지 않았던가"라고 했다.
특히 "학계와 교육계가 맡아야 할 교과서 편찬을 정권이 주무르는 비정상적 배경에는 최순실의 최측근인 차은택의 외삼촌(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등 국정을 농단한 집단이 있었다"며 "결국 국정 역사교과서는 박근혜 교과서이면서 '최순실 교과서'이고 비정상적 권력이 만든 비정상적인 교과서"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