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희 의장 세번째 불신임 결의안 일촉즉발
충북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새누리당 소속인 김양희 의장 불신임 결의안을 제출한 가운데 충북도의회에 심상치 않은 전운이 감돌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11월 정례회 때 불신임안 표결처리를 강행하겠다는 반면, 새누리당은 이를 저지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도의원들은 지난 20일 새누리당 소속인 김양희 의장 불신임 결의안을 부의장에게 제출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 엄재창 부의장이 결의안을 반려할 경우 자당 소속인 장선배 부의장을 통해 본회의에 상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도의원들이 제출한 김 의장 불신임안은 같은 당 장선배 부의장에 의해 11월 18일 본회의에 상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민주당 도의원들은 정례회 본회의 때 불신임안을 안건으로 상정해 대체토론을 한 뒤 무기명 투표로 처리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도의원들은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새누리당 의원들과 몸싸움까지 불사하겠다며 전의를 불태우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의회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불신임안이 제출되면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캐스팅보트를 쥐게 된다.
총 31석의 의석 중 새누리당이 20석, 더민주당이 11석을 차지하고 있는데, 새누리당은 11명의 주류와 9명의 비주류로 나뉘어 있다.
비주류가 더민주당과 공조하면 20석을 차지하면서 11석인 현재의 새누리 주류가 도의회 소수로 전락하게 된다. 불신임안이 본회의에 상정돼 표결까지 간다면 김 의장의 자리 유지도 어려워진다.
현 사태를 관망하고 있는 새누리당 충북도당이 조정 역할에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도의회 새누리당 의원들 간 분열에는 관여하지 않았으나 자당 소속 김 의장 불신임안 처리에 앞서 `집안 단속'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불신임 결의안이 본회의에 상정돼 표결로 가더라도 부결될 가능성이 크다.
새누리당의 한 도의원은 “도당에서도 이 문제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비주류가 민주당과 손잡도록 도당이 가만히 놔두지는 않아 표결로 가더라도 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도의원들은 지난달 9일과 지난 7일 불신임안을 김 의장에게 제출했으나 모두 반려되자 `이해 관계자는 제척해야 한다'는 행정자치부의 유권 해석을 토대로 불신임안 제출 채널을 부의장으로 변경했다.
연철흠 원내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도의원들은 불신임안 제출에 앞서 언론 간담회를 해 “부의장은 안건을 무조건 본회의에 상정, 심의 의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달 9일 MRO산업 점검 특위 구성 및 특위 위원 선임 과정에서 김 의장이 법령을 어겼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반면, 새누리당 박한범 원내대표는 “김 의장을 흠집 내고 도의회를 정치 공세의 장으로 변질시키려는 행위로 규정, 좌시하거나 관망하지 않겠다”고 맞서고 있다.
최근 연 원내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났으나 의견 접근에는 실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