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의장에게도 도에서 발송하는 (지진 관련) 재난문자가 안 오네요.”

김양희 충북도의회 의장이 지난 19일 저녁 한 모임에서 경북 경주에서 진도 4.5의 지진이 발생 지진 관련 충북도의 긴급 재난문자메시지가 일부 동석자들에게 도착하자 쏟아낸 푸념이다.

일부 도의원에게도 이날 지진 관련 문자메시지는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충북도의 긴급 재난문자메시지 발송과 운용이 도정을 감시·견제하고 함께 이끌어나가는 도의원들에게도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정도로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난문자 수신자 수도 재난상황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처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난 12일과 19일 저녁 경주에서 진도 4.5 이상의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자 관련 사실을 도민들에게 긴급 재난문자로 타전했다

 하지만 도의 재난문자는 지난 2012년 수요조사를 통해 휴대전화번호를 확보한 도민 4500명에게만 전달됐다.

모든 대규모 재난 시 원활한 공조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도의회, 언론사 등 유관기관 종사자 및 구성원에게는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다.

재난문자 수신자 수가 4500명에 불과한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2만5000명에게 재난문자를 발송하는 기초자치단체인 청주시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숫자다.

지진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재난이다 보니 재난문자가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집중호우, 폭설 등 예측 가능한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160만 도민의 0.28%에게 관련 사실을 알려 인명과 재산피해를 줄이겠다는 것뿐이 안되기 때문이다.

보다 효과적인 피해줄이기를 위해서는 적어도 전 도민의 5% 이상은 재난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청주시는 조만간 재난문자가 시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는 판단하에 재난문자 발송대상을 5000명 늘린 3만명까지 확대하기로 해 도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20일부터 한 달간 통·반장, 직능단체 관계자, 농·축산 농민, 취약계층, 일반시민 등을 대상으로 재난문자 수신희망자를 모집한다. 읍·면·동별 재난발생에 따른 맞춤형 대비를 위해 민간단체별, 지역별 안배도 할 계획이다.

시는 장기적으로 개인정보이용에 동의하는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재난문자 발송대상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도의회 의장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에게 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돼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문자전송을 위해서는 수신희망자의 정보제공동의서가 반드시 필요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발송대상자가 적은 것”이라며 “조만간 시·군의 협조를 얻어 발송대상자를 재정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