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지사가 항공정비(MRO)사업 유치 실패로 위기를 맞으면서 ‘벼랑 날에 섰다.
충북도의회가 이 사업을 주도해 온 전상헌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에 대한 경질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고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이 지사를 압박하고 있다.
이 지사가 MRO사업 실패 책임 논란에 휩싸인 경제자유구역청을 전 청장 체제로 계속 갈 것인지, 아니면 도의회 다수당인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의 요구를 수용해 타협할 것인지 기로에 섰다.
만약 이 지사가 도의회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특위가 이 문제를 정치 쟁점화하고 내년 예산까지 연계할 경우 정치적 부담이 된다.
그렇지만 전 청장을 경질할 경우 MRO사업 유치 실패 갈무리가 안 되고 대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는 점은 행정적으로 부담이 클 수밖에 없어 이 지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 지사는 지난달 26일 MRO사업의 핵심 파트너인 아시아나항공이 사업을 포기하면서 새누리당 도의원들로부터 전 청장 경질 요구와 특위 구성으로 막다른 골목으로 몰렸다.
이런 가운데 이 지사는 12일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MRO사업 논란에 관한 입장을 밝힐 것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온다.
이 지사는 전 청장 경질이나 현 체제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상황을 맞았다.
이 지사는 그동안 수차례 “정치적 결정(경질)을 하면 쉽겠지만, 지금은 전 청장을 대체할 인물이 없고 청장을 바꾸면 1~2년 업무 공백이 불가피해진다”며 경질 불가론을 고수해 왔다.
전 청장이 수차례 이 지사에게 사의를 표명했고 지난 8일에는 전 청장이 도청 기자실을 찾아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이 지사는 이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적이 없다.
그러나 도의회가 특위 가동을 공식화한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도의회는 지난 9일 전 청장이 출석한 도의회 본회의장에서 특위 구성을 강행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이 이시종 지사 지키기에 나섰지만 특위 구성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김 의장과 함께 이 지사 ‘저격수’로 꼽히는 새누리당 엄재창(단양) 부의장과 김학철(충주1) 행정문화위원장이 특위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각각 맡아 도 집행부와 경자청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경자청 운영 전반에 대한 ‘해부’가 불가피한 상황이 되면서 이 지사와 전 청장의 정치적·행정적 부담은 더 커졌다. 도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은 특위에서 MRO사업 유치 실패를 파헤친 뒤 이시종 지사 책임론을 강하게 제기할 가능성이 크다.
3선 도전 의사를 밝힌 이시종 지사에게는 상당한 악재가 될 전망이다.
도의회가 특위를 구성하고 전 청장이 공식적으로 사의를 표명한 뒤여서 이 지사가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