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근 후보 "현역 의원들 책임안지고 기득권 지키기" 비판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이 지연되면서 출마를 준비 중인 충북 예비후보들 사이에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청주 상당구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더불어민주당 김형근 전 충북도의장은 7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거구를 이른 시일 안에 획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도의장은 "선거구가 정해지지 않아 (현역이 아닌) 예비후보는 선거운동에 차별을 받고 있다"며 "이 사태의 책임은 국회의원들에 있지만, 해결은커녕 자신들의 기득권 지키기에만 힘을 쏟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현역 의원들은 선거구 획정이 늦더라도 의정보고회나 의정활동을 통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며 "획정 지연은 결과적으로 도전자(원외 인사)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에게 불신과 염증을 지속해서 제공한 19대 의원들에게 반드시 선거구 사태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현역 의원들에게 회초리를 들어 달라"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 김현문 전 청주시의원은 총선 90일 전까지 선거구가 획정되지 않으면 선거구획정위원 전원을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지난 6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획정위는 법적 의무인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며 "이행하지 않으면 법적기한을 지키지 않은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직선거법을 보면 획정위는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을 선거일 전 6개월인 지난해 10월 13일까지 제출해야 했는데 이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만일 선거구를 획정하지 않으면 직무유기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새누리당 오성균 청주 청원구 당협위원장은 이날 공직선거법 개정 필요성을 주장했다.
오 위원장은 보도자료를 내 "(국회에 입성하게 되면) 선거구 획정이 지연될 경우 획정위 안이 국회 의결과 똑같은 효력을 갖도록 공직선거법 개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의원에게 선거구 획정 권한을 부여한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격"이라며 "정치권의 영향력이 완전히 배제되도록 여야가 아닌 중앙선관위가 선거구획정위원을 선정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오 위원장은 "영국과 독일, 호주 등은 선거구획정위가 중앙선관위 산하 독립기구로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과 오 위원장은 20대 총선 청주 청원구 출마를 위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