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강생 하위 10% 무조건 D·F등급 반발 커
충북지역 4년제 대학마다 후한 인심으로 '학점 뻥튀기'가 심각한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성적등급 비율 조정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충북 13개 국립·사립대학 졸업생 가운데 B학점 이상을 받은 학생은 99.2%에 달했다.
전체 졸업생의 36.9%는 A학점 이상을 받았고, 이 중 사립대 2곳은 졸업생 전원에게 B학점 이상을 줬다.
한 대학에서는 A+ 학점을 받은 학생 비율이 24.0%를 기록했다.
교육부가 이 같은 '학점 인플레이션' 문제를 재정지원 평가요소로 반영하겠다고 나서자 도내 대학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규정을 변경·시행하고 있다.
이 중 충북대에서는 성적등급 비율 규정을 변경해 이를 올해 2학기부터 적용하라고 각 교수에게 전달했다.
변경된 성적등급 비율은 '성적평가Ⅰ' 교과목(성적평가Ⅱ 과목을 제외한 전공·교양 과목)의 경우 A등급은 전체 수강생의 30%이하, A·B등급은 70%이하로 규정했다.
A·B·C등급을 합쳤을 때는 전체 수강생의 9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성적평가Ⅱ' 교과목(인증평가·세미나·외국어·실기·실습 교과목 등)은 A등급을 35%이하로 유지하도록 했다.
예전 상대평가 과목은 4.5점 만점 기준으로 평점평균이 3.0점에 ±0.3 범위만 유지하면 됐었다.
예를 들어 한 과목 전체 수강생의 평점평균이 B등급 정도를 유지하면 교수 재량에 따라 D·F등급을 주지 않아도 됐다.
하지만 이번 변경된 규정에서는 전체 수강생의 하위 10%는 무조건 D·F등급을 줘야 한다.
이 같은 변경 규정에 일부 교수들이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교수는 "교과목 특성상 열심히 공부한 학생도 어쩔 수 없이 D나 F등급을 받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고 전했다.
다른 교수는 "성적을 안 주는 과목에 대한 기피 현상이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학 측에서는 "성적평가Ⅱ 과목에는 담당 교원 재량권도 부여했고, 성적평가 예외 과목에는 재량에 따라 절대평가 방식도 허용했다"며 "교과목의 특수성을 고려했고, 학생 측에서도 이를 수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