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자유치 어렵고 청주시 청사신축으로 재정운용 한계

 
 
 
 충북도의 현안 사업 중 하나인 오송 전시관 건립이 존폐의 기로에 섰다. 청주시가 여전히 사업 참여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도가 단독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으나 도내 균형발전을 고려하면 청주권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할 수 없는 처지다.

청주시의 참여 없이는 사실상 추진이 어려워 도가 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사업 '백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도에 따르면 이시종 지사는 최근 오송 전시관 건립을 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도내 균형발전 차원에서 청주권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청주권보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남부와 북부권의 반발도 우려된다.

이에 도는 민자 유치도 검토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전시관 건립이 수익을 내기 어렵다는 이유로 나서는 기업이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 도의회는 내년 예산안에서 '전시관 건립 타당성 조사비' 2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청주시의 참여가 전제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청주시의 사업 참여만이 전시관 건립의 유일한 열쇠인 셈이다. 문제는 시가 사업 참여를 꺼리고 있다는 점이다.

도는 시의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당근책'을 내놨다. 우선 시의 어려운 재정 형편을 고려해 도가 '선투자'하고, 시가 '후투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전시관 착공 후 도가 먼저 500억원을 투자하고 시가 나중에 매년 100억원을 5년간 '분할 납부'하는 것이다.

전시관 건립이 오송 역세권 개발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방침을 세웠다. 시가 역세권 개발 지역 주민들의 눈치를 보느라 사업 참여에 소극적이란 판단에서다.

도는 전시관 주변 상업용지 분양 시기를 역세권 개발보다 늦출 계획이다. 역세권과 중복되는 시설은 아예 유치하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청주시는 도의 이런 제안에도 요지부동이다. 게다가 시가 통합 청사를 리모델링에서 신청사 건립으로 선회하면서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신청사 건립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되면 전시관 건립에 참여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시관 건립을 위해선 다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오송 전시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큰 만큼 청주시의 사업 참여를 끌어내겠다"며 "사업 추진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청주시 흥덕구 만수리·궁평리 일원 18만2191㎡ 부지에 4만176㎡ 규모로 오송 전시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